임재관 newsmedical@daum.net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지영미)가 8월 1주차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를 전국, 수도권 및 비수도권 ‘낮음’으로 평가했다.
이는 확진자 발생 규모는 지난 겨울철 유행 시기와 유사하지만 사망자 발생 규모는 낮은 수준인 상황이 고려됐다.
실제 8월1주 주간 일평균 확진자는 4만 9,528명으로 겨울 유행 정점시기(2022년 12월 3주, 67,306명)와 유사한 수준이다.
하지만 8월1주 주간 사망자는 97명으로, 겨울 유행 정점시기(2022년 12월 3주, 391명)보다 적다.
◆발생
▲위중증·사망자 현황
지난주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는 전주 대비 4.1% 증가해 일평균 177명이다.
신규 사망자 수는 전주 대비 10.2% 증가(88명→97명)했고, 일평균은 14명이다.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149명(84.2%), 일평균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13.7명(99.0%)이었다.
7월3주차 확진자를 2주간 모니터링한 결과, 중증화율 0.09%, 치명률은 0.03%이였다.
치명률의 경우, 델타변이 유행 중 가장 높은 시기(1.72%, 2021.12.1주)와 오미크론 유행 중 가장 높은 시기(0.89%, 2021.12.5주) 대비 낮은 수준이다.
8월 5일 기준, 전체 인구 10만 명당 코로나19 누적 사망률은 68.5명(치명률 0.11%)이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사망률과 치명률이 높았다.
80세 이상의 누적 사망률이 1,002.2명(치명률 1.78%)으로 가장 높고, 70대는 215.7명(치명률 0.41%), 60대는 56.1명(치명률 0.11%)이었다.
60세 이상 일반 인구의 코로나19 백신 미접종·1차 접종자 비율 3.2%에 비해 60세 이상 신규사망자(96명) 중 코로나19 백신 미접종자‧1차접종자의 비율은 25.0%(24명)로 높았다.
(표)주간 코로나19 위험평가 지표별 추이(※ 잠정통계로 향후 변동 가능)
▲확진자 및 발생 추이
8월 1주(7.30.~8.5.) 주간 신규 확진자는 34만 6,695명으로 전주 대비 10.5% 증가했지만 증가폭은 감소했다.
주간 일평균 확진자수는 4만 9,528명이고, 감염재생산지수는 1.09로 7월 1주부터 4주 연속 1.1 이상 유지하다 소폭 감소했다.
방학 등의 영향으로 10~19세에서 일평균 발생률은 2주 연속 감소한 반면 60세 이상 확진자 규모는 6주 연속 증가했다.
발생률은 80세 이상(128.3명), 70~79세 이상(126.5명), 30~39세(112.6명) 순으로 높았다.
성별에 따른 누적 확진자를 보면 여성이(54.0%) 남성(46.0%)보다 높지만 누적 사망자는 여성(50.6%)과 남성(49.4%)이 비슷한 비율을 보이고 있다.
(표)성별·연령별 발생 현황(명, %)
7월 4주 전체 확진자 중 감염취약시설 구성원 수는 전주 대비 증가(8,987명 → 1만 548명)했으며, 비율은 감소(3.5% → 3.4%)했다.
▲재감염 추정 사례
7월 3주(7.16.-7.22.) 주간 확진자 중 재감염 추정사례 비율은 45.6%로 전주(45.2%) 대비 0.4%p 증가했다.
최근 6개월(1.22.~7.22.) 동안 재감염자의 97.2%는 오미크론 우세화 시기에 최초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7월 23일 0시 기준 확진자 3,026만 6,448명 중 재감염 추정사례(2회 이상)는 235만 7,002명이고, 누적 구성비는 7.8%로 확인됐다.
연령별 재감염률은 0~17세 10.8%, 18~59세 7.1%, 60세 이상 6.8%였다.
(그래프)주차별 확진자 수 및 2회감염 추정 비율
▲변이 바이러스
XBB.1.16과 XBB.2.3의 검출률은 19.4%(+0.6%p)와 17.1%(+2.3%p)로 전주 대비 소폭 증가했다.
반면 XBB.1.9.1과 EG.5(XBB.1.9.2.5)는 21.6%(-1.1%p)과 16.5%(-1.3%p)로 소폭 감소했다.
EG.5(XBB.1.9.2.5)는 XBB1.9.2의 하위변이로 5월에 재명명된 오미크론 변이 중 하나이다.
◆대응 역량
▲병상가동률
전국 중환자실 병상가동률 50% 이하로 유지되지만 증가 추세로 모니터링이 필요한 상황이다.
▲먹는치료제 처방률
60세 이상 치료제 처방률은 2023년 8월 1주 46.1%로, 투약기반 강화 및 고위험군 대상 적극 처방을 통해 2022년 5월 대비 33.8%p 상승했다.
▲예방접종 효과
(표)최근 4주간 확진자 중 예방접종력에 따른 중증화율 위험도(2023.7.23. 0시 기준)
최근 4주간 예방접종 효과분석 결과, 2가백신 접종을 완료하면 접종 후 확진되더라도 미접종자에 비해 중증 진행 위험이 92.2% 감소됐다.
‘미접종자 확진군’의 중증화율은 ‘2가백신 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12.8배, ‘부스터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7.3배가 높았다.
[메디컬월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