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인술린 저항성과 내시경 소견 연관성 확인…역류성 식도염 중증도와 인슐린 저항성 비례 분당제생병원 박상종 소장, 서준영 과장, 홍혜선, 이현탁 연구팀 2025-02-06
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인슐린 저항성이 있는 환자들은 미란성 식도염의 발생률이 더 높았고, 역류성 식도염의 중증도가 높아질수록 인슐린 저항성의 정도도 높아졌다. 


분당제생병원(병원장 나화엽) 소화기센터 박상종 소장, 서준영 과장(교신저자), 홍혜선, 이현탁 전문의(공동1저자)가 인슐린 저항성과 내시경 소견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대사성 증후군의 진단 및 예측에 내시경 검사가 가지는 잠재적 중요성을 밝히기 위해 진행한 연구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번 연구결과 위의 점막에서 관찰할 수 있는 정맥망 배열의 규칙성(regular arrangement of collecting venules, RAC)이 있는 경우 인슐린 저항성의 위험이 낮아졌고, 미란성 식도염은 인슐린 저항성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확인됐다.


홍혜선 전문의는 “내시경 검사가 대사성 질환의 합병증 예측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 대장 등 소화기 상태 확인뿐 아니라 건강을 지키는데 폭넓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을 확인한 뜻깊은 연구였다.”라고 말했다.

(사진 : 서준영 과장, 홍혜선 전문의)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RAC 손실이 인슐린 저항성과 연관될 수 있다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RAC는 기존에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이 없는 위 점막에서 관찰되는 내시경 소견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RAC 손실이 대사성 합병증의 표지자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도 확인됐다. 


이는 인슐린 저항성이 혈관 및 조직의 구조적 변화와 관련되고 위 점막의 정맥망 배열이 이러한 변화를 반영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확인된 것이다.


서준영 과장은 “이번 연구를 통해 내시경 검사가 단순한 위장 질환 진단을 넘어, 대사성 합병증과 같은 전신적 건강 상태를 평가하는 데에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됐다. 앞으로 더 큰 규모의 코호트를 포함한 장기적 연구를 통해 연관성을 확인하고 임상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추가 연구를 적극적으로 진행하도록 하겠다.”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SCI저널인 ‘Scandinavi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에 게재됐다.


한편 인슐린 저항성이란 정상적인 인슐린의 작용에 대해 세포가 반응하지 않는 상태를 말하고, 인슐린에 대한 저항성을 갖게 될 경우 우리 몸에서 인슐린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고 고혈당증이 발생하게 된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TAG

라이프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