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균형장애 여부, 심뇌혈관질환 발병 위험 중요 예측 인자 가능 확인 중앙대광명병원 오윤환 교수, 제주대병원 서지영 교수, 서울대 김혜준 연구원팀 2023-11-02
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최근 균형 기능과 심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 사이의 유의미한 관계에 대한 선행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지만 대부분 연구의 설계상 균형 장애가 과소평가될 가능성이 높다.


대부분의 연구는 심뇌혈관질환의 발병보다는 심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측면이 있다.


이런 가운데 균형장애 여부가 심뇌혈관질환 발병 위험 중요 예측 인자 가능성이 확인됐다. 


오윤환 교수(교신저자, 중앙대학교광명병원), 서지영 교수(교신저자, 제주대학교병원), 김혜준 연구원(제1저자, 서울대학교), 정석송 교수(제1저자, 차의과대학) 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활용해 균형 장애와 새롭게 진단된 심뇌혈관질환 발병률의 연관성을 밝혀냈다.

(사진 좌측부터 : 중앙대광명병원 오윤환 교수, 서울대학교 김혜준 연구원, 차의과대학 정속성 교수)


연구팀은 11년에 걸친 대규모 종단 연구로 기존에 심혈관질환을 진단받은 적이 없는 12만 9,024명의 65세 이상 노인들을 추적 관찰 및 조사했다. 


이번 연구결과 균형 장애(외발서기 10초 미만)가 있는 노인의 경우 균형 장애가 없는 노인(외발서기 20초 이상)에 비해 장래 심혈관질환의 발생 위험이 30% 가까이 높은 사실을 확인했다. 관상동맥질환 발생 위험의 경우는 그 위험이 23%, 뇌졸중의 경우 33% 더 높은 것이 확인됐다.


오윤환 교수는 이번 연구에 대해 “균형장애 여부가 심뇌혈관질환을 진단을 받은 적이 없는 노인 인구에서 균형장애 여부가 장래 발생할 심뇌혈관질환의 발병 위험에 대한 중요 예측 인자일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 주목해야 할 부분이다.”라고 밝혔다.


정석송 교수는 “노화나 노화와 연관된 질병으로 인한 균형기능 장애가 있는 경우 낙상의 위험이 증가하고, 이로 인한 장애나 두려움으로 장시간의 좌식 생활습관이 심뇌혈관질환의 위험도를 높일 수 있는 한가지 가능성이다.”라고 말했다.


김혜준 연구원은 “또 다른 가능한 설명으로 균형장애로 인한 노쇠(frailty)가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리며, “노쇠 노인의 심리적, 생리적 스트레스에 대한 민감성이 심뇌혈관질환의 위험도를 높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라고 설명했다.


서지영 교수는 “균형 장애와 심뇌혈관질환 위험의 증가에 대한 연구 결과가 노인의 심뇌혈관질환위험도와 관련된 위험요소로 인지될 수 있다”며 “전통적인 심뇌혈관 위험요소 이외에도 균형 장애 및 이와 관련된 노쇠 평가가 노인 건강 예후에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하는 연구임이 중요하다.”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지난 10월 24일 SCIE급 해외 저널 ‘European Journal of Medical Research’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한편 심뇌혈관질환은 여전히 노인층에서 중대한 질환이며, 사회적 부담이 큰 질환이다. 2021년 질병관리청 자료에 따르면 전체 사망원인의 17%를 심뇌혈관질환으로 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TAG

라이프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