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국내 오미크론 BA.2.86 첫 검출…국내 감염 추정 사례, 추가 확진자 없어 감염재생산지수 0.91…최근 3주 연속 1.0 이하 유지 2023-09-06
임재관 newsmedical@daum.net

최근 덴마크, 미국 등 해외에서 발생한 오미크론 BA.2.86이 국내에서도 1건이 처음 검출(8. 31.)됐다. 


확진자(남/45세)는 국내 감염 추정 사례로 경증이었으며, 최근 해외여행력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동거인과 직장 접촉자 중 현재까지 추가 확진자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변이 바이러스

EG.5의 검출률은 33.8%(+6.8%p)로 5월 이후 지속 증가 중이며, XBB.1.9.1은 20.8%(-1.1%p)로 5월 이후 20%대 초반 유지하고 있다.

◆위중증·사망자 현황

지난주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는 전주 대비 5.1% 감소하여 일평균 223명이고, 신규 사망자 수는 일평균은 31명이다.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192명(86.1%), 일평균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21.1명(94.3%)이었다.

8월3주차 확진자를 2주간 추적관찰한 결과, 중증화율 0.11%, 치명률은 0.04%이였다. 


치명률의 경우, 델타변이 유행 중 가장 높은 시기(1.72%, 2021.12.1주)와 오미크론 유행 중 가장 높은 시기(0.89%, 2021.12.5주) 대비 낮은 수준이다.


2023년 8월 31일 기준, 전체 인구 10만 명당 코로나19 누적 사망률은 69.3명(치명률 0.10%)이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사망률과 치명률이 높았다. 


80세 이상의 누적 사망률이 1,018.4명(치명률 1.71%)으로 가장 높고, 70대는 219.2명(치명률 0.40%), 60대는 56.9명(치명률 0.10%)이었다. 


60세 이상 일반 인구의 코로나19 백신 미접종·1차 접종자 비율 3.2%에 비해 60세 이상 신규사망자(148명) 중 코로나19 백신 미접종자‧1차접종자의 비율은 28.4%(42명)로 높았다. 


◆확진자 및 발생 추이

8월 5주(8.27.~8.31.) 주간 신규 확진자는 18만 1,451명으로 전주 대비 3.9% 감소했다.


주간 일평균 확진자수는 3만 6,290명, 감염재생산지수는 0.91로 최근 3주 연속 1.0 이하를 유지했다.

0~9세, 10~19세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의 일평균 발생률은 감소했고, 연령대별 발생률은 10-19세(127.5명), 80세이상(81.8명), 70-79세(76.8명) 순으로 높았다. 


성별에 따른 누적 확진자를 보면 여성이(54.0%) 남성(46.0%)보다 높지만 누적 사망자는 여성(50.6%)과 남성(49.4%)이 비슷한 비율을 보이고 있다. 

(표)성별·연령별 발생 현황(명, %)

◆병상가동률

전국 중환자실 병상가동률(8.31. 기준)은 지속 감소 추세를 보이며 50% 이하로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상황이다.


◆먹는치료제 처방률

60세 이상 치료제 처방률은 2022년 5월(12.3%) 대비 2023년 8월 45.0%까지 꾸준히 상승했다. 

[메디컬월드뉴스]

관련기사
TAG

라이프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