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재관 newsmedical@daum.net
2022년 국내 의약품 생산실적이 28조 9,503억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에 따르면 이는 전년(25조 4,906억 원)대비 13.6% 증가한 것이며, 의약품 생산실적은 지난해 국내 제조업 생산실적 중 차지하는 비율은 5.25% 수준이지만 최근 5년간 연평균 8.2% 성장해 전체 제조업 연평균 성장률(2.2%)의 약 4배에 달하는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의약품 시장규모도 17.6% 증가한 29조 8,595억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다만 의약외품 시장규모는 마스크 생산이 큰 폭으로 감소(25.5%)해 2021년 대비 6.7% 감소했다.
방역용품(마스크·외용소독제)을 제외한 시장규모는 2021년 대비 6.8% 성장했다.
2022년 의약품과 의약외품 시장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바이오의약품 생산·수출실적 역대 최대치…첫 5조원 대 진입
2022년 바이오의약품 생산실적은 2021년(4조 7,398억원) 대비 14.2% 증가한 5조 4,127억원이며, 처음으로 5조원 대에 진입했다. 최근 5년간 연평균 20%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바이오의약품 수출액 75.5% 증가
지난해 바이오의약품 수출액은 27억 8,593만달러(3조 6,000억원)로 2021년(15억 8,738만달러, 1조 8,169억원) 대비 75.5% 큰 폭으로 증가해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수출액 증가는 전통적인 효자품목인 바이오시밀러(유전자재조합의약품)가 전년 대비 증가했고, 전문 위탁생산업체가 코로나19 백신을 전 세계에 공급하여 생산․수출액 증가를 견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2022년 바이오의약품…최근 5년간 첫 마이너스 성장률 기록
다만 2022년 바이오의약품 시장규모는 5조 1,663억원으로 2021년(7조 111억원) 대비 26.3% 감소해 최근 5년간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률을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2021년 급증했던 코로나19 백신 수입 감소가 주된 요인으로 분석된다.
▲바이오의약품 시장규모 ‘백신’ 1위 유지
지난해 바이오의약품 제제별 시장규모를 살펴보면 코로나19 백신 수입 감소에도 불구하고 백신이 2021년에 이어 2년째 유전자재조합을 제치고 시장규모 1위 자리를 지켰다.
▲바이오의약품 수입액 27.3% 감소
지난해 바이오의약품 수입액은 25억 9,528만달러(3조 3,536억원)으로 2021년(35억 7,175만달러, 4조 883억원) 대비 27.3% 감소했다.
이는 코로나19의 유행이 감소하고 국내 생산 확대로 백신의 수입실적이 급감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제제별 수입실적 순위은 ➊유전자재조합의약품 13억 6,710만달러(전년 대비 0.1%↓) ➋백신 11억 3,732만 달러(전년 대비 46.8%↓) ➌혈장분획제제 3,782만달러(전년 대비 12.9%↓) ➍세포·유전자치료제 3,041만달러(전년 대비 9987.7%↑) ➎독소·항독소 2,263만달러(전년 대비 7.3%↑) 순이다.
▲세포·유전자치료제…큰 폭 증가
첨단바이오의약품인 세포·유전자치료제는 고가의 CAR-T 치료제(1회 투여, 약 28만달러)의 수입으로 인해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백신·치료제가 생산·수입실적 상위 차지
▲2022년 완제의약품
2022년 완제의약품 생산실적 1~2위[모더나코리아 ’스파이크박스주‘ 및 ’스파이크박스2주‘, 셀트리온 ’램시마주‘, 한독 ’플라빅스정‘ 순]는 코로나19 백신인 모더나코리아 ‘스파이크박스주’, ‘스파이크박스2주’가 차지했다.
수입실적 또한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가 1~4위[한국화이자의 ‘코미나티주’, 길리어드사이언스코리아 ‘베클루리주정맥주사용동결건조분말’, 한국화이자 ‘코미나티2주’, 모더나코리아 ‘모더나스파이크박스2주’ 순]를 차지했다.
▲진해거담제>해열·진통·소염제 순
일반의약품 중 ‘진해거담제’, ‘해열·진통·소염제’ 순으로 생산액 증가율이 높았다.
이는 지난해 코로나19와 감기가 동시에 유행하여 증상 완화를 위한 의약품 수요가 증가한 것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완제의약품·전문의약품의 높은 생산비중 유지
▲ 완제의약품 생산액 13.9% 증가
지난해 완제의약품 생산액은 25조 5,712억원으로 전년대비(22조 4,451억원) 13.9% 증가했고, 최근 5년간 연평균 8.4%의 성장율을 보였다.
전체 의약품 생산액(28조 9,503억원) 중 비중은 88.3%였다.
▲원료의약품 생산액 11.0% 증가
원료의약품 생산액은 3조 3,792억원으로 전년대비(3조 455억원) 11.0% 증가했다.
생산액 순위는 ‘램시마원액’(셀트리온), ‘트룩시마원액’(셀트리온), ‘허쥬마원액’(셀트리온) 순이다.
▲전문의약품 13.5% 증가
전문의약품은 21조 9,864억원을 생산해 전년 대비(19조 3,759억 원) 13.5% 증가했다.
완제의약품 중 전문의약품 비중은 86.0%로 조사됐다.
◆의약외품 상위 5품목 순위 유지
▲2022년 의약외품 생산실적 8.4% 감소
2022년 의약외품 생산실적은 2조 1,394억원으로 2021년(2조 3,368억원)보다 8.4% 감소했다.
이는 2022년 방역용품(마스크, 외용소독제) 생산실적이 감소한 영향으로 분석됐다.
다만, 방역물품 이외의 의약외품 생산실적은 2021년 대비 5.4% 성장했다.
▲의약외품 생산업체 수·생산품목 수 감소
지난해 의약외품 생산업체 수는 1,113개소로 전년(1,324개소)보다 15.9% 감소했고, 2022년 생산품목 수는 5,909개로 전년(6,384개)보다 7.4% 감소했다.
▲마스크>치약제>자양강장변질제>생리용품>반창고 순
2022년 의약외품 생산액 상위 5개 품목군은 마스크(7,075억원, 33.1%), 치약제(3,725억원, 17.4%), 자양강장변질제(3,174억원, 14.8%), 생리용품(2,748억원, 12.8%), 반창고 등(1,587억원, 7.4%) 순으로 전년도 생산금액 상위 5개 품목과 동일한 순위를 유지했다.
생산액 상위 5위 품목군의 생산금액은 1조 8,309억원으로 전체 의약외품 생산액(2조 1,394억원)의 85.6%를 차지했다.
(표)의약외품 생산 현황
▲동아제약>엘지생활건강>유한킴벌리>아모레퍼시픽 순
업체별 생산액 상위에서 ‘동아제약’이 2021년에 이어 1위를 차지했다.
이어서 ‘엘지생활건강’, ‘유한킴벌리’, ‘아모레퍼시픽’, ‘엘지유니참’이 뒤를 이었다.
이들 업체가 전체 의약외품 생산액의 35.5%를 차지했다.
품목별로는 ‘박카스디액’이 2021년에 이어 1위를 차지했고, ‘박카스에프액’, ‘까스활액’ 순이었다.
식약처 의약품안전국은 “이번 2022년 의약품 생산·수출·수입실적 자료가 국내 의약품 산업 현황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업계의 제품 연구·개발과 정부 정책 수립 등 의약품 산업 발전에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앞으로도 과학적 규제 서비스와 규제혁신에 기반해 소비자가 믿고 사용할 수 있도록 의약품 품질 신뢰성을 제고하고, 글로벌 수준의 품질 확보를 위한 제조‧품질관리 체계 고도화 바탕으로 우수한 의약품·의약외품이 해외에 진출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2022년 의약품·의약외품 생산·수출·수입 주요 현황은 (메디컬월드뉴스 자료실)을 참고하면 된다.
[메디컬월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