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잔여콜레스테롤이 높으면 당뇨병 발생을 증가시키고, 젊을수록 잔여콜레스테롤이 당뇨병 발생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한림대성심병원 내분비내과 강준구 교수, 허지혜 교수, 노은 교수와 숭실대학교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한경도 교수팀은 2009년 건강검진을 시행한 당뇨병이 없는 한국 성인 약 850만명을 대상으로 2019년까지 추적 관찰하여 2009년 검진 당시에 측정한 잔여콜레스테롤 수치에 따라 추후 당뇨병 발생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했다.
이번 연구 결과, 잔여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은 사람(30mg/dL 이상)과 수치가 낮은 사람(14mg/dL 이하)의 9년 뒤 당뇨병 발생은 1000인년(person-years, 1인년은 1인 1년간의 관찰 단위를 말한다.)당 각각 13.3건과 3.1건으로, 약 3.3배 차이가 났다.
나이·성별·체질량지수·흡연·음주·고혈압·만성신장질환·이상지질혈증에 대한 치료력과 공복혈당을 보정한 이후에도 30mg/dL 이상군이 14mg/dL 이하군에 비해 약 2배 높게 나타났다.
특히 젊은 연령대에서 높은 잔여콜레스테롤 농도로 인한 당뇨병 발생 위험도의 증가 규모가 높게 나타났다.
저(低)잔여콜레스테롤 군 대비 고(高)잔여콜레스테롤 군의 연령별 당뇨병 발생 위험도는 여러 위험인자들을 보정한 이후 70세 이상에서 1.20배, 60~69세 1.51배, 50~56세 1.90배, 40~49세 2.47배, 30~39세 3.07배, 20~29세 3.06배 등으로 젊은 사람일수록 당뇨병 발병에 잔여콜레스테롤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높은 잔여콜레스테롤 농도로 인한 당뇨병 발생 위험도의 증가는 ▲여성과 같이 전통적으로 당뇨병 발생 위험이 적은 사람 ▲공복혈당장애와 같은 대사 이상이 없는 사람 ▲고혈압이 없는 사람 ▲고중성지방혈증 또는 저HDL 콜레스테롤혈증 등 죽상경화성 이상지질혈증이 없는 사람에서 더욱 뚜렷했다.
이번 연구를 주관한 강준구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당뇨병 발생에서 지질 독성이 병인으로써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입증됐다”며, “잔여콜레스테롤이 혈관세포뿐 아니라 인슐린 분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췌장 베타세포에도 나쁜 영향을 줄 수 있음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SCI급 국제학술지인 ‘Diabetes Care(Impact Factor 17.152)’ 2023년 최근호에 ‘잔여콜레스테롤은 제2형 당뇨병의 독립적인 예측인자(Remnant Cholesterol I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Type 2 Diabetes: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Cohort Study)’라는 내용으로 게재됐다.
한편 잔여콜레스테롤은 초저밀도지단백질(very low-density lipoproteins, VLDL) 또는 중저밀도지단백질(intermediate-density lipoproteins, IDL) 내의 콜레스테롤을 의미한다.
잔여콜레스테롤의 측정은 총콜레스테롤 수치에서 저밀도지단백질(LDL)콜레스테롤과 고밀도지단백질(HDL)콜레스테롤 수치를 제외하여 계산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된다.
이미 여러 연구를 통해 잔여콜레스테롤이 심혈관질환을 일으키는 위험 요인이라는 사실이 밝혀졌지만, 잔여콜레스테롤과 포도당 대사 사이의 상관관계는 불분명했다.
잔여콜레스테롤은 심뇌혈관질환뿐 아니라 당뇨병의 독립적 위험인자이므로 관리가 중요하다. 하지만 아직 잔여콜레스테롤의 정상 수치에 대한 공식적인 지침이나 기준은 없는 실정이다.
노은 교수는 “이상지질혈증 관리를 위한 생활요법을 따르면 잔여콜레스테롤 관리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표)잔여콜레스테롤을 줄이기 위한 일상생활 속 관리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 T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