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자퇴(Dropout)’검색량…국내 남·여 청소년 극단적선택과 밀접한 연관 확인 여의도성모병원 최원석, 한림대성심병원 홍현주 교수팀 2023-05-09
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13~18세 국내 청소년의 ‘자퇴(Dropout)’ 인터넷 검색량이 극단전선택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의도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최원석 교수팀(한림대학교성심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홍현주 교수, 교신저자)은 2016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국내에서 사망한 13세부터 18세 학생들의 익명화된 자살사망 데이터(교육부, 한림대학교 자살과 학생정신건강연구소)를 네이버 데이터랩(Naver Datalab)에서 추출한 총 26개 국내 청소년 자살 및 자해 관련 단어 검색량과의 연관성을 다변량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했다. 


또한 검색어 변화와 실제 자살시점과의 시간차를 확인하기 위한 교차 상관 분석을 진행했다.

(연구 분석 절차 모식도)


우선 남·녀 간의 검색패턴에서 차이가 확인돘다.

여성에서 자살(Suicide), 자해(Self-harm) 및 자살 위험인자 관련 단어들(성적, 학교폭력 등) 간의 상관성이 높았다. 


즉, 자살 관련 단어를 검색할 때, 자해 관련 단어를 함께 검색하는 경향이 여성 청소년에서 더 두드러졌다.


인터넷 검색량과 자살 사망과의 연관성에선 특히 ‘자퇴(Dropout)’검색량은 남성 및 여성 청소년, 전체 인구 모두에서 자살과의 연관성이 있었다. 


‘자퇴(Dropout)’ 검색량 변화와 실제 청소년 자살 사망간의 시간 간격은 아주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자살 사망과 검색량 간의 상관성이 가장 높은 시간 간격은 남·녀, 전체 인구에서 모두 0일이었다. 


여성 청소년의 경우 ‘자해(Self-harm)’ 및 ‘성적(Academic Score)’ 관련 검색량이 자살 사망과 연관성을 보였으며 각각 사망시점으로부터 0일, -11일에서 가장 높았다. 


전체 인구에서는 ‘자해(Self-harm)’과 ‘자살방법(Suicide method)’ 검색량이 각기 사망시점으로부터 +7일과 0일에서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주) 여성 청소년의 자살, 자해관련 검색어 간 상관관계. 파란색 음영은 양의 상관관계를, 빨간색 음영은 음의 상관관계를 의미함. H-term: 자해 관련 검색어,  P-term: 자살 예방 관련 검색어, R-term: 자살 위험 요인 검색어, S-term: 자살 관련 검색어


또한 다른 국가와 달리 국내에서 ‘우울(depression)’ 검색량과 자살과의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은 국가 자살예방정책의 효과가 일부 반영된 것으로 교수팀은 해석했다.


최원석 교수(제1저자)는 “이전 연구들은 구글 검색 기반이지만 이번 연구는 국내 인터넷 검색 점유율 1위 데이터를 활용한 것으로 국내 현실을 비교적 정확히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국내 인터넷 포털 검색량 데이터를 활용한 첫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며, “자퇴(dropout)를 고려하고 있는 국내 학생들에게 자살사고나 자살 가능성에 대한 사전 평가가 극단적 선택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극단적 선택은 10~20대 국내 사망 원인 1위로 코로나 펜데믹 이후 학생들의 우울, 외로움 및 스마트폰, 인터넷 중독과 같은 문제가 늘어나는 등 최근 청소년 정신건강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디지털 헬스케어 및 의료정보학 분야 국제 학술지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IF 7.077) 2023년 4월호에 게재됐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TAG

라이프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