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코로나19 전후(2019~2021) 지역사회건강조사 비교 분석 결과는? 개인위생, 비만, 고혈압 진단 경험 2020년 개선…2021년 소폭 악화 2022-04-28
임재관 newsmedical@daum.net

코로나19 유행 전후(2019-2021년) 성인(만 19세 이상)의 주요 건강행태와 만성질환 지표를 분석한 결과, 일부 건강행태 지표와 정신건강, 당뇨병 관리지표가 지속적으로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이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를 활용해 4월 27일 발표한 코로나19 유행 전후(2019~2021년)의 주요 건강행태와 만성질환 지표 분석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 급감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은 2019년 24.7%에서 2020년 19.8%로 급감(4.9%p)했고, 2021년 다시 소폭 감소(0.1%p)해 19.7%로 나타났다.


▲아침결식 예방인구 비율

아침결식 예방인구 비율은 2019년 53.4%에서 2020년 51.5%로 감소(1.9%p)했고, 2021년 50.0%로 감소(1.5%p)했다.

▲우울감 경험률 증가 

우울감 경험률은 2019년 5.5%에서 2020년 5.7%로 소폭 증가(0.2%p)했다가 2021년 6.7%까지 증가(1.0%p)했다.  


▲스트레스 인지율

스트레스 인지율은 2019년 25.2%에서 2020년 26.2%로 증가(1.0%p)했고, 2021년에도 수준이 유지됐다. 


▲당뇨병 

당뇨병 진단 경험률(30세 이상)은 2019년 8.0%에서 2020년 8.3%로 증가(0.3%p), 2021년 다시 8.8%로 증가(0.5%p)했다.

반면 당뇨병 진단경험자(30세 이상)의 치료율은 2019년 91.9%에서 2020년 91.5%로 감소(0.4%p)했고, 2021년 다시 91.2%로 소폭 감소(0.3%p)했다.

◆만성질환…2020년 개선됐다가 2021년 악화

개인위생과 비만, 고혈압과 같은 만성질환은 코로나19 유행 첫해인 2020년에 개선됐다가 2021년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외출 후 손 씻기 실천율 등 

외출 후 손 씻기 실천율은 2019년 85.5%에서 2020년 97.6%로 급증(12.1%p)했다가 2021년에는 94.5%로 감소(3.1%p)했다. 

비누, 손 세정제 사용률도 2019년 81.3%에서 2020년 93.2%로 급증(11.9%p)했다가 2021년에는 89.3%로 감소(3.9%p)했다.


▲비만율

비만율(자가보고)은 2018년 31.8%에서 2020년 31.3%로 소폭 감소(0.5%p)했다가 2021년에는 32.2%로 증가(0.9%p)했다.


▲고혈압 진단 경험률

고혈압 진단 경험률(30세 이상)은 2019년 19.4%에서 2020년 19.2%로 소폭 감소(0.2%p)했다가, 2021년에는 20.0%로 다시 증가(0.8%p)했다.

◆걷기실천율·건강생활 실천율…2020년 악화, 2021년 개선 

반면 코로나19 유행 첫해인 2020년에 악화됐다가, 2021년에 코로나19 유행 전 수준으로 회복 또는 개선된 것으로 나타난 지표는 걷기실천율과 건강생활 실천율이었다.


▲걷기실천율…감소 후 증가 

걷기실천율은 2019년 40.4%에서 2020년 37.4%로 감소(3.0%p)했다가 2021년에 다시 40.3%로 증가(2.9%p)했다.  


▲건강생활실천율…감소 후 증가 

건강생활실천율도 2019년 28.4%에서 2020년 26.4%로 감소(2.0%p)했다가  2021년에는 29.6%로 증가(3.2%p)했다.


◆일부 건강행태와 고혈압 관리…지속 개선 

일부 건강행태와 고혈압 관리는 코로나19 유행 전부터 2021년까지 지속적으로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흡연율 감소 

현재흡연율은 2019년 20.3%에서 2020년 19.8%로 감소(0.5%p)했고, 2021년에 19.1%로 더욱 감소(0.7%p)했다. 

남성 현재흡연율도 2019년 37.4%에서 2020년 36.6%, 2021년에는 35.6%까지 감소(1.0%p)했다.

▲월간음주율 감소  

월간음주율은 2019년 59.9%에서 2020년 54.7%로 크게 감소(5.2%p)했고, 2021년에 53.7%까지 감소(1.0%p)했다.


▲고혈압 치료율 증가 

고혈압 진단 경험자(30세 이상)의 치료율은 2019년 91.7%에서 2020년 93.1%로 증가(1.4%p)했고, 2021년에 93.3%로 소폭 증가(0.2%p)했다.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코로나19 유행이 지속되었던 지난 2년 동안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 등 일부 건강행태와 정신건강, 당뇨병 관리지표의 지속적 악화추세를 확인했다”며, “코로나 유행이 지속되면서 걷기실천율, 건강생활 실천율이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는 등 건강 유지 노력을 해 온 것으로 파악됐지만 코로나 유행 시 나빠진 지표의 추가적 악화를 막기 위해서는 보건정책 수립과 시행에 중앙 및 지방정부의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질병관리청은 중앙 및 지방정부가 악화 지표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속할 수 있도록 근거자료를 제공할 계획이다“고 덧붙였다.


한편 상세 결과는 요약통계집 ‘2021 지역건강통계 한눈에 보기 – 요약’에 수록되어 있으며, 지역사회건강조사 누리집에서 내려받아 활용할 수 있다.

[메디컬월드뉴스]



관련기사
TAG

라이프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