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설림프절 전이 있는 환자 위험도 8배…5년 생존율 22.2% 성빈센트병원 조정해 교수팀 2022-04-04
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설암(혀암) 환자 예후에 ‘설림프절 전이 여부’가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설림프절이 설암에서 처음 전이되는 곳이라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이비인후과 조정해 교수팀은 2009년~2018년 설암 및 구강암 수술을 받은 성인 환자 51명의 설림프절 전이 여부와 예후, 5년 생존율, 위험도 등을 면밀히 분석했다.

그 결과 51명의 환자 중 병리학적으로 설 림프절 전이가 확인된 환자는 17.6%(9명)이며, 이들 환자는 설림프절 전이가 없는 환자에 비해 위험도가 8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설림프절 전이 여부는 5년 생존율에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설 림프절 전이가 없는 환자군의 5년 생존율은 85.7%인데 반해 전이가 있는 환자군의 5년 생존율은 22.2%인 것으로 분석됐다.

또 조정해 교수팀은 설암에서 가장 먼저 전이되는 부위가 설림프절이라는 사실도 함께 밝혀내 설암 환자에서 설림프절에 대한 세밀한 평가의 중요성도 확인했다.

조정해 교수는 “설암 환자인 경우 설림프절에 대한 세밀한 평가를 통해 조기 설암일지라도 원발부 절제와 동시에 설림프절 절제를 시행해 암의 재발을 최소한으로 줄여주고 치료 성적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Journal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게재됐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TAG

라이프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