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국민 대부분은 사회적 거리두기 등 코로나19 방역수칙을 잘 지키고 있지만, 다른 사람은 자신보다 덜 지키고 있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장관 권덕철)와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황희)가 진행한 코로나19 관련 인식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한국리서치에서 실시했으며, 4월 27일부터 4월 29일까지 전국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의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코로나 19 인식, 방역수칙 실천 정도 등에 대해 조사했다. 신뢰수준은 95%이며, 오차범위는 ± 3.1%이다.
◆방역수칙 실천 정도
이번 조사 결과, 방역수칙 실천 정도에 대해 자신은 방역수칙을 잘 지키고 있지만 다른 사람은 자신보다 덜 지키고 있다고 응답했다.
▲마스크 착용
마스크 착용의 경우 97.3%가 본인은 잘 실천하고 있으며, 다른 사람들도 잘 실천하고 있다(90.2%)로 응답했다.
▲사적 모임 금지
사적 모임 금지의 경우 96.6%가 본인은 잘 실천하고 있다고 응답한 반면, 다른 사람은 잘 실천하고 있다는 비율이 59.3%에 불과했다.
▲식당·카페 이외 장소에서 음식 섭취 금지
학원, 실내체육시설, 노래연습장 등 식당·카페 이외의 장소에서 음식 섭취 금지를 92.4% 본인은 잘 실천하고 있다고 응답한 반면, 다른 사람은 46.3%만 실천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방역수칙 준수, 필요한 부분은?
방역수칙 준수를 위해서는 스스로 방역수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천하는 것이 가장 중요(78.1%)하며, 우리 사회를 위한 공동체 의식(65.2%), 방역수칙 위반에 대해 제대로 처벌하는 정부의 대응(24.4%) 순으로 확인됐다.
또 정부는 코로나19 증상이 있는 경우 출근이나 등교를 하지 않도록 안내하고 있지만, 여러 이유[(중복응답) 증상이 심하지 않다고 생각(48.1%)하거나, 직장/학교 지침에 따라 출근/등교해야 했음(40.7%), 관련성 없다고 판단(40.7%) 등]로 출근이나 등교를 하는 경우가 여전히 많았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역정책 관련
방역정책 관련 국민 대부분은 참여와 자율 중심의 방역기조에 동의(66.5%)했다.
또 유행이 심각해지는 경우 다중이용시설의 일괄적인 영업 제한에도 동의(79.2%)했다.
거리두기 단계와 구체적인 방역수칙에 대해서는 충분한 정보가 제공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긍정과 부정이 비슷한 수준(충분한 현재의 방역대책 정보제공 55.2%, 충분한 거리두기 단계별 구체적 실천수칙 정보제공 54.4%)이었다.
백신의 안전성·효과나 예방접종의 진행현황에 대해서는 정보제공이 충분하지 않다는 응답(충분하지 않은 백신정보 제공 58.9%, 충분한지 않은 접종정보 제공 62.2%)이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예방접종 받겠다” 감소 vs. “접종자 주변 추천” 상승
예방접종을 받겠다고 응답한 비율은 61.4%로 지난 3월 조사에 비해 6.6%p가 감소했다. 반면, 접종을 받은 사람이 주변에 추천하기로 했다는 비율은 89.5%로 지난번 조사에 비해 5.1%p 상승했다.
▲접종하려는 이유…가족 감염 예방
예방접종을 받으려는 가장 큰 이유는 가족의 감염 예방(80.8%)이며, 접종을 망설이는 주요 이유는 이상 반응 우려(84.1%)로 나타났다.
▲백신 관련 허위 조작정보 폐해 심각
국민들은 백신 관련 정보를 언론 보도(79.1%)와 정부의 발표(66.8%, 중복응답)를 통해 얻으며, 백신 관련 허위 조작정보의 폐해가 심각(69.4%)하다고 응답했다.
허위 조작정보 대응으로는 정부의 투명하고 정확한 정보공개(60.9%)가 가장 중요하며, 이외에 언론의 정확한 정보전달(22.6%), 허위정보에 대한 엄정 대응(13.4%) 순으로 나타났다.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정책에 대한 여론조사를 통해 국민의 인식을 바탕으로 방역정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대국민 인식조사를 실시했다”고 설명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