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잠 못드는 도시, 최고 ‘부산’ VS. 최저 ‘세종’…소득에 따른 편차도 커 최근 5년간 불면증 총진료비 약 4,590억 원…진료인원 80대 이상노인 최다 2020-10-11
임재관 newsmedical@daum.net

부산이 불면증으로 인해 진료를 가장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세종은 가장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 80세 이상 고령 노인의 불면증도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인재근(서울 도봉갑, 더불어민주당)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15년부터 2019년까지 불면증 진료를 받은 환자 수는 매년 약 5~60만명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점진적인 증가세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 지역별 통계에 따르면 부산이 1,529.3명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뒤이어 대구가 1,417.5명, 충북 1,318.6명, 서울 1,313.2명, 경북 1,306.9명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낮은 지역은 세종으로 인구 10만 명당 762.1명이 불면증 진료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불면증 환자 증가…진료비도 증가
연도별로는 2015년 약 51만 4,000명, 2016년 약 54만 3,000명, 2017년 약 56만 3,000명, 2018년 약 60만 명, 2019년 약 63만 5,000명이었으며, 2020년의 경우 상반기에만 약 40만 명이 불면증 진료를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불면증 환자가 늘어남에 따라 진료에 드는 비용도 만만치 않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015년 약 641억원이었던 불면증 연간 총진료비(급여비와 본인부담금을 합산한 총진료비)는 2019년에는 약 1.6배가 증가한  약 1,053억 원까지 증가했다. 2015년부터 2020년 상반기까지 발생한 불면증 총진료비는 약 4,590억 원이다.


◆여성 불면증 환자 남성 1.6배, 진료 실인원 60대 최다 
성별로는 여성이, 연령대별로는 노년층이 더 많이 진료받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말 기준 여성 불면증 환자는 총 38만 6,193명으로 남성 불면증 환자(24만 9,072명)보다 1.6배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연령대별 진료 실인원은 60대가 13만 6,794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50대가 12만 9,955명, 70대 11만 5,114명 순이었다.
그러나 연령별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 통계를 살펴보면 80세 이상이 4,219.7명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뒤이어 70대 3,437.6명, 60대 2,229.2명, 50대 1,512.8명, 40대 1,038.2명 순으로 나타나 고령일수록 불면증 진료를 많이 받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추세는 2015년부터 일관적으로 지속되고 있다.
(표)최근 5년간 인구 10만 명당 불면증 현황(지역별)

◆소득에 따른 차이 확인…소득 최다 그룹 vs. 최저그룹간 약 2.8배 차이
불면증 진료는 소득에 따른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소득분위별 진료실인원을 살펴보면 소득이 가장 높은 10분위 그룹의 경우 13만 7,030명이 진료를 받은 반면, 소득이 가장 낮은 그룹인 1분위의 경우 4만 9,526명에 불과해 약 2.8배의 차이를 보였다.
또 소득10분위 그룹의 연간 총진료비는 약 223억 원으로 소득1분위 그룹의 연간 총진료비 약 84억 원 보다 약 2.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재근 의원은 “연령에 비례해 불면증 진료가 많아진다는 건 어르신들의 수면건강에 빨간불이 켜졌다는 뜻이다”며, “수면장애는 우울증과 치매 등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큰 만큼 초기부터 관리가 필요하다. 정부당국이 어르신 수면건강을 위한 심리지원 확대 등 세밀한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최근 5년간 성별/연령별 불면증 진료인원 현황
▲최근 5년간 성별/연령별 인구 10만 명당 불면증 진료현황
▲최근 5년간 불면증 총진료비 현황
▲최근 5년간 인구 10만 명당 불면증 현황(지역별)
▲최근 5년간 소득분위별(보험료분위별) 불면증 진료현황
▲불면증 상병코드는 (본지자료실)을 참고하면 된다.
[메디컬월드뉴스]

관련기사
TAG

라이프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