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납과 카드뮴 등의 중금속 물질과 휘발성 유기화학물질이 만성콩팥병의 위험을 크게 높인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또 퓨란 등 휘발성 유기화학물질과 만성콩팥병 발생 사이의 연관성이 새롭게 확인됐다.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김병관 원장) 신장내과 이정환·이정표 교수, 서울대 의대 의생명연구소 오소희 교수,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독성학교실 최경호 교수팀은 1999년부터 2016년까지 미국 국민건강영양조사(NHANES)에 참여한 총 4만 6,748명의 성인으로부터 얻은 임상데이터를 통해, 소변과 혈액에서 발견된 환경화학물질 중 만성콩팥병과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진 물질에 대한 분석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 결과, 소변 및 혈액에서 발견한 총 262가지의 화학물질 중 7개 물질이 단백뇨 발생과 사구체여과율(eGFR) 수치 감소 등 만성 신장질환 발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팀에 따르면, 이번 연구를 통해 발견한 7가지의 화학물질 중 특히 납과 카드뮴 등의 중금속 물질과 함께 휘발성 유기화학물질이 만성콩팥병의 위험을 크게 높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정 질환에 대한 환경화학물질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EWAS(Environment-wide association study)연구를 통해 각 화학물질이 신장질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본 결과, 혈중 납은 사구체여과율 감소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OR=1.35), 혈중 카드뮴은 단백뇨 발생(OR=1.28)과 사구체여과율 감소(OR=1.30) 모두에서 유의한 연관성이 확인됐다.
또 퓨란 등 휘발성 유기화학물질과 만성콩팥병 발생 사이의 연관성도 새롭게 확인됐다.
이정환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여러 환경화학물질 중에서도 중금속 물질과 함께 퓨란 등의 유기화학물질의 체내 농도 증가가 만성콩팥병 발생에 독립적인 위험인자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의 교신저자인 이정표 교수는 “콩팥은 한번 손상되면 정상으로 완전한 회복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고, 특히 유해화학물질의 노출 증가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담배는 반드시 삼가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신장학 분야 세계적인 권위 학술지 ‘미국 신장학학회 학술지(Clinical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에 지난 5월 게재됐다.
한편 단백물질 중 하나인 알부민이 콩팥에서 소변을 통해 체외로 배출되는 단백뇨 증상과 콩팥의 여과기능을 나타내는 사구체여과율 수치의 감소는 만성콩팥병 발생을 진단하는 주요 지표로 알려져 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 T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