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노인 우울증, 객관적 분석 알고리즘 개발…맞춤형 관리 가능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김희정 교수팀 2020-01-01
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노인 우울증을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개발됐다. 이에 따라 노인 우울증을 사전에 예측,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김희정 교수팀은 세브란스 헬스IT산업화지원센터의 지원을 통해 지역사회 내 거주 중인 독거노인 우울군을 정확히 선별 가능한 알고리즘을 구축했다고 지난 12월 31일 밝혔다.


교수팀은 2016년부터 2017년까지 65세 이상의 재가 독거노인 47명을 대상으로 주간 활동량, 환경적 빛 노출, 수면 패턴 등의 평가요소를 적용해 우울증 정도를 평가했다. 2주간 활동기록기(Philips Actiwatch Spectrum PRO)를 통해 생체측정 지표를 수집하고, 하루 4번씩 대상자들의 주관적 우울감을 1~10점을 기준으로 측정했다.

조사결과 우울감을 호소한다고 했던 47명의 대상자 중 실제 우울증이 있는 대상자는 18명으로 파악됐고, 우울감을 호소했지만 우울증이 아닌 대상자는 29명으로 나타났다.

즉 주관적인 우울감만을 기준으로 판단했을 때 47명 독거노인 모두 우울감을 호소하고 있다고 했지만, 객관적인 분석 결과, 18명만이 우울군으로 식별됐다.

우울군으로 식별된 집단의 경우 활동량이 67.4를 기록한 반면 비우울군은 90.5로 25.6% 가량 낮게 나타났다. 우울감이 없이 좋은 기분을 평가한 생태순간평가에서도 우울군의 경우 5.1점 비우울군의 경우 6.6점으로 우울군에서 심리적으로 우울감이 심한 것으로 확인됐다.


하루 1회, 1주일 이상의 주관적인 우울점수인 생태순간평가와 함께 생체측정 지표인 주간 평균 활동량, 환경적 빛 노출의 차이(특히 오후 4-8시), 일별 수면의 질 만으로 90% 이상 우울군 선별이 가능했다.

교수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활동량과 주간 빛 노출, 수면 패턴 등 활동지표로 그동안 우울 선별을 위한 노인 우울 척도(GDS)나 해밀턴 우울척도 등 임상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우울증 정도를 측정하는 알고리즘을 구축했다.

이번 알고리즘 구축으로 그동안 파악되지 않은 노인 우울증을 측정할 객관적 지표가 마련돼 노인 맞춤형 관리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김희정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대상자를 객관적으로 선별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며, “노인, 특히 독거노인의 정신건강을 지속적으로 평가하여 증상 중심의 개인 맞춤형 중재 프로그램과 지역사회 서비스의 통합과 실무로의 확산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진행된 이번 연구결과는 해외학술지 ‘의학인터넷연구저널 자매지 모바일헬스 및 유헬스’(Journal of Mediacl Internet Research mHealth and uHealth) 최신호에 게재됐다.


한편 통계청에 따르면 2017년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1만 73명 중 21.1%가 우울 증상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연령별로 65~69세가 15.1%, 70~74세는 18.2%, 75세~79의 경우 23.6%, 80~84세는 30.7%, 85세 이상은 33.1%로 조사됐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우울 증상을 겪는 비율이 높아졌다. 특히 독거노인의 경우 2,416명 중 730명(30.2%)이 우울하다고 답했다. 노인부부 4,908명 중 804명(16.4%)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수치다. 독거노인의 경우 부부노인에 비해 정신건강적 측면이 취약하여 우울증 유병률이 더 높다.

노인들은 직장에서의 은퇴, 그로 인한 경제적 능력 상실, 사회적 고립, 배우자 사망 등을 원인으로 우울 현상을 겪게 된다. 이러한 노인 우울증은 고혈압, 심장병 등 순환기 질환이나 치매와 같은 정신질환 등의 합병증 발병 가능성을 높인다. 따라서 우울증을 제때 진단해 관리하지 못한다면 질병 치료를 위한 사회적 비용의 증가는 물론 자살과 같은 극단적 선택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하지만 노인 우울증의 경우 노인이 호소하는 주관적인 우울감만으로 우울증을 진단하기에는 증상의 비정형적 특성이 있어 예측하기 어렵다. 또 우리나라 노인들의 경우 본인이 지각하지 못하거나 혹은 우울 증상을 정확히 보고하지 않는 경향이 있어 대상자를 객관적으로 선별하기 힘든 실정이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TAG

라이프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