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5월 27일 병원계 이모저모①]상계백, 원자력, 전북대병원, 국립중앙의료원 등 소식 2025-05-27
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5월 27일 병원계 주요 이모저모는 다음과 같다.


◆국립중앙의료원, 2025년 항생제 적정사용 관리 전문인력 양성 전문 교육 개최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교육훈련센터(센터장 오영아)가 지난 5월 22일부터 24일까지 서울프레지던트호텔 강의장에서 ‘2025년 항생제 적정사용 관리 전문인력 양성 전문 교육’을 개최했다. 

이번 교육은 ‘항생제 적정사용 관리(이하 ASP, Antimicrobial Stewardship Program) 시범사업’에 참여한 책임 의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교육 내용은 ▲항생제 내성 문제와 ASP 소개 ▲항생제 적정 사용  ▲ASP 운영 전략 ▲ASP 활동을 위한 임상미생물학 ▲임상 진료지침의 중요성 및 활동 등 항생제 관리에 필요한 핵심 주제로 구성됐다.


◆상계백병원 ‘Thanks To U 릴레이’ 시작

상계백병원(원장 배병노)이 2025년 직원경험 향상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직원 간 칭찬 캠페인인 ‘Thanks To U 릴레이’를 시작했다.

27일 본관 17층 강당에서 첫 번째 릴레이 수상자 5명을 선정해 병원장 감사카드와 Thanks To U 뱃지, 상장과 상금을 수여했다.

배병노 원장은 “작은 칭찬 한마디가 동료의 하루를 바꾸고, 긍정적인 조직문화를 만들어낸다”며, “Thanks To U 릴레이를 통해 상계백병원이 서로 존중하고 격려하는 따뜻한 일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원자력병원 ‘난치암의 핵의학 치료 최신 지견’ 주제 개원의 연수강좌 개최

한국원자력의학원(원장 이진경)은 원자력병원이 오는 5월 28일(수) 강당에서 ‘난치암의 핵의학 치료 최신 지견’을 주제로 개원의 연수강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개원의 연수강좌는 방사성동위원소 악티늄-225(Ac-225)의 생산 허가 취득을 기념하여 ▲신경내분비종양과 전립선암의 핵의학 치료 최신 지견(핵의학과 이인기·임일한 과장)을 공유한다. 이와 함께 최근 생활습관의 변화와 고령화에 따라 개원가에서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통풍의 진단과 치료(류마티스내과 이은영)에 대한 강좌가 이어질 예정이다.


핵의학은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하여 암을 비롯한 난치성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의료분야로 한국원자력의학원은 그간 전량 수입에 의존해왔던 방사성동위원소 악티늄-225(Ac-225)의 생산 허가를 5월 12일 국내 최초로 취득하고 본격적인 생산을 앞두고 있다. 

과기정통부 산하의 출연연구기관인 한국원자력의학원은 방사선의학연구소와 원자력병원을 운영하며 과학계와 의료계의 접점으로 연구의 신속한 임상적용을 통해 방사성의약품 신약 개발과 암환자 치료 등 방사선 의생명 분야의 다양한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김동호 원자력병원장은 “이번 연수강좌는 악티늄-225를 활용한 차세대 핵의학 치료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자리로 마련된다”며, “개원의 선생님들과 함께 최신 암 치료 기술과 임상경험을 공유하고 환자 중심의 진료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진료 협력 기반을 다지는 자리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전북대병원 암관리 전문인력 역량강화 교육 진행

전북대학교병원(병원장 양종철)이 전북도내 암관리사업 담당 공무원을 대상으로 ‘국가암관리사업 공무원 전문역량 강화교육’을 진행했다.


전북지역암센터 국가암관리사업에 대한 소개로 시작된 교육에서는 전북대병원 유방·갑상선외과 안하림 교수의 갑상선암에 대한 강의를 통해 갑상선암의 진단, 치료, 수술 후 관리 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됐고, 체험형 프로그램 등으로 참여자들의 흥미를 유발하는 등 다채로운 과정이 진행됐다.

양종철 병원장은 “여러 기관이 지역민의 건강을 위해 상호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것은 의료 사각지대를 줄이고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며 “전북대병원은 암 관리 사업의 중심기관으로서 지역 내 공공의료 역량 강화를 위한 다방면의 노력을 이어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TAG

라이프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