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LDL 70mg/dL미만 시 콜레스테롤 치료제 ‘스타틴' 복용시 치매 위험 13% 추가 감소 강동성심병원 김예림 교수, 한림대성심병원 이민우 교수팀 2025-04-12
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최근 국제 저명 학술지 랜싯(The Lancet, 2024)이 기존 치매 위험요인인 교육 부족이나 청력 손실, 흡연 등과 같은 항목에 높은 LDL-C 수치를 새로운 요인으로 추가했다.


이런 가운데 LDL콜레스테롤(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수치를 70mg/dL 미만으로 낮추면 치매 위험이 눈에 띄게 줄어든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번 연구는 이런 랜싯의 발표를 뒷받침하는 연구로써 대규모 표본 크기를 이용해 견고하고 다양한 데이터 분석 방법으로 일관된 결과를 보여주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강동성심병원 신경과 김예림 교수, 한림대성심병원 이민우 교수팀은 국내 11개 대학병원의 환자 데이터를 공통 데이터 모델 (common data model)로 분석해 도출한 결과, LDL 콜레스테롤 수치가 70mg/dL 미만인 사람은 LDL 콜레스테롤 수치가 130mg/dL 이상인 사람에 비하여 전체 치매 발병 위험이 26% 감소하고, 알츠하이머 치매는 28%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 강동성심병원 김예림 교수, 한림대성심병원 이민우 교수)


LDL 콜레스테롤과 뇌기능 관련 초기 연구에서는 매우 낮은 콜레스테롤 수치가 인지 기능 저하와 관련이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지만 교수팀이 발표한 이번 연구에서는 나쁜 콜레스테롤인 LDL-C 수치가 치매 발생률 감소와  연관이 있으며, 콜레스테롤 관리가 치매 예방에 있어 중요한 치료임을 밝혀냈다. 


이는 치매 임상 치료에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또한 이번 연구에서는 LDL 수치가 70mg/dL 미만인 경우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약물인 ’스타틴‘을 복용하면 치매 발병 위험이 13%로 추가 감소한다고 밝혔다. 


이는 고령자나 치매 위험군이 스타틴을 꾸준히 복용하는 것이 유의미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와 관련해 플로리다 마이애미의 신경과 전문의 샤힌 라칸(Shaheen Lakhan) 박사는 의학전문매체 메드스케이프를 통해 “지금까지 의학계는 뇌에 ‘안전’하거나 유익한 콜레스테롤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를 확실히 말하기 어려웠다”며, “이 연구는 치매 위험을 줄이는 구체적인 콜레스테롤 기준(<70mg/dL)을 제시한 매우 유용한 연구”라고 평가했다. </p>


이어 “임상의에게는 고령층 등의 치매 위험이 있는 환자에게 스타틴 복용을 지속해야 할 강력한 근거를 제공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세계적 권위의 영국의학저널 그룹(British Medical Journal Group)이 출판하는 국제 학술지 '신경학, 신경외과학, 정신의학 저널(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 Psychiatry)에 4월 1일자로 게재됐다.


이어 Herald, Tribune, The Guardian, YAHOO News 등 전 세계 100개 이상의 주요 뉴스 매체에 소개되며 국제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TAG

라이프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