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비만의 질환 인식과 치료 접근성에 대한 상당한 인식 격차가 확인됐다.
대한비만학회가 의료진 404명과 일반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비만 진료 및 관리 현황 조사’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 의료진: 비만 치료 필요성 인식하나 적극 진료는 미흡
▲의료진 적극 진료 비율 68%
의료진 90%가 비만 치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95%가 지속적인 치료 필요성을 강조했지만, 실제 적극적으로 진료하고 있는 비율은 68%에 불과했다.
의료진의 65%는 관련 지식과 경험 부족을 호소했으며, 비만 진료 현장에서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적절한 상담 수가가 없다는 점과 환자의 높은 치료비 부담이 지적됐다.
의료진 83%는 비만 치료제가 효과적이라고 평가하면서도 적극적으로 처방하는 비율은 63%에 그쳤다.
의료진의 45%는 ‘BMI 30 이상 또는 BMI 27 이상+동반질환 보유 환자’에게 비만 치료제를 처방해야 한다고 인식했다. 그보다 낮은 기준으로 인지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 처방 현황 및 효과 평가
가장 많이 처방되는 약제는 펜터민(35%), 세마글루티드(22%), 리라글루티드(15%) 순이었으며, 체중감량 효과가 가장 우수한 치료제로는 세마글루티드가 꼽혔다.
장기 처방 약제 중 환자의 치료 순응도가 가장 높은 것은 ‘펜터민/토피라메이트 복합제’였다. 그 다음으로 ‘리라글루티드’, ‘세마글루티드’ 순으로 나타났다.
◆ 일반인: 비만을 질환으로 인식하는 비율 저조
일반인 응답자의 28%만이 BMI 25 이상을 비만으로 인식했으며, 63%는 비만이 개인 의지로 해결 가능하다고 답했다.
▲ 병원 진료 통한 체중 관리 시도 비율 12%
비만을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라고 인식한 비율은 38%에 불과했다.
일반인의 78%가 다이어트 경험이 있으나, 병원 진료를 통해 체중 관리를 시도한 비율은 12%에 그쳤다.
병원 진료를 통한 체중 관리를 시도하지 않은 주된 이유는 비용 부담과 약물 부작용에 대한 우려였다.
▲ 사회적 차별 경험 심각
응답자의 25%가 비만으로 인한 사회적 차별을 경험한 적이 있으며, 의료진으로부터 체중 관련 차별을 경험한 비율도 15%에 달했다.
◆ 정책 과제: 비만 치료 급여화 및 인식 개선 필요
의료진 68%와 일반인 60%가 비만 치료 급여 확대 필요성에 공감했다.
의료진은 급여화가 필요한 이유로 ‘환자의 비용 부담 완화’와 ‘만성질환 예방 효과’를 꼽았다.
현재 비만 치료제 처방 중단율은 44%로, 2022년 대비 증가했으며, 환자의 비용 부담이 가장 큰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의료진 대상 비만 진료 교육 확대 및 명확한 진료 가이드라인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비만 상담 수가 현실화와 함께 장기적 안전성을 갖춘 치료제 처방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정책이 요구되며, 사회적 인식 개선을 위해서는 비만에 대한 편견 해소를 위한 캠페인과 공공 홍보가 필수적이라는 의견이 모아졌다.
대한비만학회의 허양임 언론-홍보이사는 “비만은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의료적 접근이 필요한 질환이다. 치료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의료 환경 개선과 정책적 지원이 필수적이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대한비만학회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대한민국의 비만 치료 활성화 및 효과적 비만 관리를 위한 정책 개발에 앞장선다는 계획이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