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재관 newsmedical@daum.net
2022년 기준 ‘여드름’ 환자의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를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121,746명) 중 20대가 47.0%(57,190명)로 가장 많았고, 10대 22.1%(26,957명), 30대 18.7%(22,723명) 순이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정기석)이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하여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발표한 ‘여드름(L70)’ 환자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에 따르면 이같이 나타났다.
진료인원은 2018년 9만 4,096명에서 2022년 12만 1,746명으로 2만 7,650명(29.4%↑)이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6.6%로 나타났다.
남성은 2022년 5만 9,352명으로 2018년 4만 5,432명 대비 30.6%(1만 3,920명↑), 여성은 2022년 6만 2,394명으로 2018년 4만 8,664명 대비 28.2%(1만 3,730명↑) 증가했다.
◆2022년 ‘여드름‘ 환자, 20대가 47.0%(5만 7천 명) 차지
2022년 기준 ‘여드름’ 환자의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를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121,746명) 중 20대가 47.0%(57,190명)로 가장 많았고, 10대 22.1%(26,957명), 30대 18.7%(22,723명) 순이었다.
남성의 경우 2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47.8%로 가장 높았고, 10대 24.6%, 30대가 18.0%를 차지했다.
여성의 경우도 20대가 46.2%, 10대 19.8%, 30대 19.3% 순으로 나타났다.
20~30대 성인 여드름환자가 증가하는 이유에 대해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피부과 이진욱 교수는 “실제로 여드름이 주로 발생하는 시기는 10대 후반의 사춘기이지만 이 시기에는 여드름을 ‘청춘의 상징’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고, 학업에 바빠 병의원을 잘 찾지 않다가 20대가 되면서 대인관계 및 사회적인 활동이 증가하게 되고 여드름을 치료하고자 하는 욕구가 증가하여 병의원을 많이 찾게 되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했다.
◆2022년 ‘여드름‘ 환자,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 237명
▲남성 30.5%, 여성 27.2% 증가
인구 10만 명당 ‘여드름’ 환자의 진료인원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22년 237명으로 2018년 184명 대비 28.8% 증가했다.
남성은 2018년 177명에서 2022년 231명(30.5%↑)으로 증가했고, 여성은 2018년 191명에서 2022년 243명(27.2%↑)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여드름’ 환자 진료인원 20대 최다
인구 10만 명당 ‘여드름’ 환자의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20대가 863명으로 가장 많았다.
성별로 구분해보면 남성은 20대가 815명으로 가장 많았고, 10대 612명, 30대 294명 순이다.
여성도 20대가 916명으로 가장 많았고, 10대 553명, 20대 366명 순으로 나타났다.
◆2022년 ‘여드름‘ 환자, 진료비 102억 원(2018년 대비 46.2% 증가)
▲건강보험 진료비 증가
‘여드름’ 환자의 건강보험 진료비는 2018년 69억 원에서 2022년 102억 원으로 2018년 대비 46.2%(32억 원)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10.0%로 나타났다.
▲20대 최고
2022년 기준 성별 ‘여드름’ 환자의 건강보험 진료비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20대가 48.2%(49억 원)로 가장 많았고, 10대 22.9%(23억 원), 30대 17.9%(18억 원)순이었다.
성별로 구분해보면, 남성과 여성 모두 20대가 각각 48.5%(27억 원), 47.9%(22억 원)로 가장 많았다.
◆2022년 ‘여드름‘ 환자, 1인당 진료비 8만 3천 원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5년 간 살펴보면 2018년 7만 4,000원에서 2022년 8만 3,000원으로 13.0% 증가했다.
▲남성 11.9%, 여성 13.9% 증가
성별로 구분해보면, 남성은 2018년 8만 2,000원에서 2022년 9만 2,000원으로 11.9% 증가했다.
여성은 2018년 6만 6,000원에서 2022년 7만 5,000원으로 13.9% 증가했다.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 10대 최고
2022년 기준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10대가 8만 6,000원으로 가장 많았다.
성별로 구분해보면 남성은 60대가 9만 7,000원, 여성은 70세 이상이 8만 원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진욱 교수는 “여드름 치료로는 피지분비 감소, 모낭각화이상 교정, 큐티박테리움 아크네스의 집락 수 감소 와 항염증 치료 등 여드름 발생에 관여하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치료를 한다”라며, “예방을 위해서는 과도한 스트레스나 흡연 및 음주를 피하는 것이 좋으며 잦은 세안은 피하는 것이 좋다. 하루에 두 번 부드러운 세안제를 사용하여 세안하는 것이 좋다. 과도한 세안이나 강한 알칼리성 비누를 사용하면 피부의 pH를 높여 피부 지질장벽을 손상시킬 수 있고, 국소 여드름 치료제의 자극을 높일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라고 밝혔다.
한편 ▲'여드름' 환자 연령대별 성별 진료실인원 현황, ▲'여드름' 환자 연령대별 성별 인구 10만 명당 현황, ▲'여드름' 환자 연령대별 성별 진료비 현황, ▲'여드름' 환자 연령대별 성별 진료 1인당 진료비 현황, ▲'여드름' 환자 시도별 성별 진료실인원 현황, ▲'여드름' 환자 시도별 성별 진료비 현황 등은 (메디컬월드뉴스 자료실)을 참고하면 된다.
[메디컬월드뉴스]
- T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