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질병관리청, 코로나19 안정적 관리로 국민의 일상회복 지원 임무 중심 연구 추진, 접종 안전성 전문적‧체계적 연구 확대 등 2023-01-17
임재관 newsmedical@daum.net

질병관리청이 코로나19 안정적 관리로 국민의 일상회복을 지원한다. 

현재 상황 및 대응계획 등은 다음과 같다.  


◆상황 분석 및 전망

▲국내 

2023년에도 산발적 유행(전 세계적으로 신규 변이 영향 등 2~3년간 산발적인 유행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은 계속되지만 유행규모는 점차 소규모화되어, 안정화 추세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외

백신, 치료제 등 코로나19 대응 수단이 갖춰진 국가들이 늘어나면서 WHO 공중보건 위기상황 종료 검토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다만 3월 중 중국의 코로나19 정점이 예상되고, 중국發 전세계 확산 가능성이 있어, 조기 종료 선언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WHO 위기상황 해제 선언시, 국내 감염병 위기단계(심각) 및 검역 등 방역 조치 조정에 대한 논의 가속화가 예상된다.   

불확실한 상황속에서도 팬데믹 통제역량을 높이고, 최적화된 방역조치 시행을 통해 국민의 안전한 일상회복 지원이 필요하다. 


◆대응 계획

▲코로나19 안정적 관리 및 고위험군 보호 집중

△접종‧치료제=일상회복 기조를 유지하며, 신속한 진단, 예방접종‧치료제를 주요 대응 수단으로 코로나19 대응 역량을 유지하면 된다. 

검사‧진단 후 신속히 치료 연계를 할 수 있도록 원스톱 인프라 유지 및 먹는 치료제 처방률[감염취약시설 처방률 향상(요양시설 43.5%, 요양병원 24%, 12월 2주)을 통한 고위험군 중증이환 예방]을 제고한다. 

충분한 2가 백신 확보 및 신규 백신 신속 도입, 유행상황(확진, 중증, 사망 등), 변이양상을 고려한 최적의 2023년 접종계획 수립‧추진한다. 

△취약계층 보호=요양병원‧시설 등 감염취약시설 및 고위험군 관리 강화(요양병원‧시설 등 취약시설 대상 감염관리 교육지원을 강화하고 지자체 취약시설전담대응팀을 활용한 감염관리 강화)로 코로나19 취약계층의 위중증‧사망 최소화한다.  

△일상회복 지원=일상적 관리체계로 전환을 위한 생활 속 방역 정착

실내마스크 의무화 조정 (23.1~3월 중) 등 일상 회복을 위한 전환을 추진(의료·요양·복지·대중교통 등 감염취약 시설은 제외 검토)하되, 방역 조치 조정에도 코로나19가 안정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주기적 환기, 아플 때 쉬는 문화 등 생활 속 방역 수칙과 개인 일상 방역 지침이 새로운 일상의 문화로 정착하도록 적극 홍보한다. 


▲철저한 중국發 코로나19 리스크 관리 

△변이감시=신규 변이 출현 가능성에 대비한 변이 감시 고도화 및 호흡기 바이러스 통합 감시‧운영 강화한다. 

BA.5, XBB.1.5, BN.1 등 다양한 하위 변위 증가와(500종 이상) 중국 내 확진자 증가에 따른 신규 변이 출현에 대비하고, 신규변이 및 유행 조기 인지를 위한 국제적 기준에 따른 검체 확보 및 분석, 이에 대한 면역학적‧구조‧배양 분석을 강화한다.  

△검역=확진자 및 신규 변이의 국내 유입 지연‧차단을 위해 중국 내 발생상황‧방역 동향에 대한 주기적 상황평가회의를 통한 검역 조치 결정 등 신속한 입국 관리를 추진한다. 

중국 유행 상황 악화 시 주의국가(level 2) 지정 및 입국 전후 검사 부과 조치 등을 검토한다. 

주의국가(level 2) 지정 시 비자발급 제한, 정기편 운항제한, 좌석점유율 80% 이하 유지 등 조치하며 일부는 2단계 선제 조치로 시행한다. 


◆코로나19 관련 근거 기반 대응 위한 임무 중심 연구 강화

코로나19 방역 전략 수립 및 만성 코로나19 증후군 관리와 관련한 과학적 근거를 도출하여 즉시 정책에 활용 가능한 임무중심 R&D를 강화한다. 


▲대응 전략 연구 

코로나19 방역 정책 수립에 즉시 활용 가능한 근거 마련을 위한 임무 중심의 연구를 추진한다. 

△백신 접종 효과 분석=코로나19 2가 백신 접종 도입(’22.10.) 등에 따라 코로나19 예방접종 효과 분석 지속 실시 및 연구를 확대[60대 이상 2가백신 예방효과, 사망예방규모 발표(’22.12.28.), 2가백신 효과, 예방접종 후 영향력 분석, 혼합 면역 효과, 재감염 위험요인 등 분석(‘23~)]한다.  

△호흡기 감시 자료 분석=지역사회 호흡기바이러스 유행 양상 통합 분석‧모니터링(기존 호흡기 표본감시체계에 코로나19 포함, 77개 의원급 의료기관 기반의 병원체감시 실시) 강화 및 관련 통계를 공개(주간표본감시)한다. 

△항체양성률 조사=근거 기반 코로나19 통제전략 수립 및 효율적 관리를 위한 전국 단위 대규모 항체 양성률 조사[① 1차조사, 전국 17개 시·도 만 5세이상 9,945명(’22.8.∼9월), ② 2차조사, 12월 21일 현재 7,503명(‘22.12.~`23.1월), ③ 3차조사, 신규 1만명( ‘23.1~‘23.3월)] 계속 실시한다. 

△사회‧경제지표 개발=사회경제적 영향을 고려한 효과적이고 균형적인 방역정책 추진 근거로 활용하기 위해 사회‧경제 지표 체계를 개발한다. 


▲건강 관리 근거 연구 

코로나19 확진자와 예방접종자의 건강관리를 강화하기 위한 임무 중심 연구를 강화한다. 

△만성 코로나19 증후군 조사=코로나19 증후군 치료 및 관리 대책 마련을 위한 임상기반의 체계적인 조사‧연구(소아‧성인 1만명 코호트 기반 장기추적연구, 바이오마커 탐색 중개연구 실시, 방역‧환자관리 정책 수립 근거를 마련하고 가이드라인 등 확산) 지속 추진(2022∼2025)한다. 

△접종 이상사례 연구=예방접종 이상사례 대응에 대한 국민 신뢰 제고를 위해 접종 안전성에 대한 전문적‧체계적인 연구를 확대한다. 

[메디컬월드뉴스]

관련기사
TAG

라이프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