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7월 주요 인물동정은 다음과 같다.
◆강남세브란스 강성웅 교수, 재활의학 세계학술대회에서 국제교육 봉사 공로상 수상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병원장 송영구) 재활의학과 강성웅 교수가 지난 6일 국제재활의학회(ISPRM·International Society of Physical and Rehabilitation Medicine) 제16회 세계학술대회에서 국제교육 봉사 공로상(Haim Ring Memorial Award)을 수상했다.
이 상은 국제재활의학회에서 국제교육에 뛰어난 업적을 쌓은 공적을 인정하여 수여하는 상이다.
강성웅 교수는 지난 2010년부터 강남세브란스병원 호흡재활센터의 국제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매년 2명의 해외 의사 무료 교육 연수를 해왔다.
지난 2014년부터는 필립스사의 지원을 받아 현지 방문 교육, 국제포럼 개최, 집중교육 코스 신설 등의 프로그램을 추가했으며, 연수생 숫자도 늘렸다.
이를 통해 지금까지 12개국 총 33명의 해외 연수생을 배출했다.
강성웅 교수는 “의료-사회적 무관심 속에서 의료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호흡재활 환자들처럼 학문 분야도 자생적으로 활성화되기는 쉽지 않은 현실을 고려해 국제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학문적 동기를 제공하고자 했다”며, “앞으로도 국제교육을 활성화하여 호흡재활 취약 국가 환자들에게 희망의 토대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대목동병원 이한아 교수, 한국연구재단 연구과제 선정
이대목동병원 소화기내과 이한아 교수팀이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에서 간헐적 칼로리제한과 표준생활습관교정의 비교: 무작위 대조연구’를 주제로 한국연구재단 창의·도전연구 기반지원 사업에 선정됐다.
이한아 교수팀은 이번 과제 선정으로 3년간 약 2억 1,000만원을 지원받는다.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은 최근 국내 유병률이 급속도로 증가하여 21-44% 에 이르는 질환이다. 다양한 합병증 및 사망률 증가와 연관되어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지만 현재 50% 이상의 환자에서 일차 치료 유효성을 충족한 약물이 없어 생활습관 교정을 통한 체중 감량이 주 치료이다.
그러나 비알코올 지방간질환 환자에서 질병 호전에 효과적인 특정 식이요법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태다.
이에 이한아 교수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1주일 중 2일은 500-600kcal를, 나머지 5일은 표준 칼로리를 섭취하도록 하는 간헐적 칼로리 제한 식이의 효과를 규명하여 환자 치료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한편 한국연구재단 창의·도전연구 기반지원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원하고 한국연구재단이 운영·관리하는 사업으로 연구자들이 독립적이고 창의적인 연구에 도전하는 것을 지원해 연구기반을 확대하고 국가역량을 높이기 위해 시행되고 있다.
◆의정부을지대병원 이문규 교수, 캄보디아 국왕에 ‘마하세나 훈장’ 수훈
의정부을지대학교병원 내분비내과 이문규 교수가 약 10년간 지속적인 의료 교육과 봉사활동으로 캄보디아 보건의료 질 향상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노로돔 시하모니 캄보디아 국왕으로부터 마하세나 훈장[The Royal Medal of Cambodia (Monisaraphon class: Mahasena) by the King of Cambodia Norodom Sihakmoni on February 10, 2022]을 받았다.
이문규 교수는 대한당뇨병학회 국제협력위원장 및 이사장을 역임하며 국제 보건의료 질 향상 및 당뇨병 인식 개선을 위해 수년간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의 국립코사멕병원에 대규모 당뇨병센터를 건립하는 데 기여했다. 이후 진료지원 및 의학기술 전수를 통해 의료선진국과의 의료격차 해소 및 공중보건 향상을 위한 활동을 해왔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이 교수는 지난 2019년 훈센 캄보디아 수상으로부터 감사패를 받기도 했다.
이문규 교수는 “전 세계적으로 당뇨병 환자가 급증하고 있는 만큼, 의료빈민국의 당뇨병 환자들이 치료에 어려움을 겪는 일이 없도록 앞으로도 다양한 의료봉사 활동을 이어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전북대병원 오선영, 강진주 교수팀 국제학술지 연달아 2편 발표
전북대학교병원(병원장 유희철)은 신경과 오선영, 강진주 교수팀의 약물과용 두통과 전정편두통 치료에 대한 연구결과가 권위있는 국제학술지인 Headache (impact factor 5.3)와 Frontiers in Neurology (impact factor 4.1)에 잇달아 게재 확정됐다.
교수팀은 “이번 연구들을 통해 두통 환자들의 통증 조절 및 삶의 질 향상을 가져올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최근에 두통 분야의 핵심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칼시토닌유전자관련펩티드(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CGRP) 관련 연구를 진행중에 있으며,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어지럼 및 두통 치료 분야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원자력의학원 인사발령
한국원자력의학원(원장 박종훈)은 7월18일자로 원자력병원 간호부장(강영순)에 대한 인사발령을 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T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