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롯데리아, 맥도날드, 맘스터치, 버거킹, KFC…배달주문과 매장구입 간 가격차이는? 한국소비자원, 햄버거 프랜차이즈 제품가격 조사결과 2021-05-20
이다금 newsmedical@daum.net

맘스터치를 제외한 4개 업체(롯데리아, 맥도날드, 버거킹, KFC)의 모든 제품이 배달주문과 매장구입 간 가격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이 주요 5개 햄버거 프랜차이즈의 제품가격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4개 업체 모두 배달주문 시 매장가격에 비해 햄버거 세트는 1,000원 ~ 1,200원, 햄버거 단품은 700원 ~ 900원, 사이드 메뉴는 600원 ~ 700원, 음료는 500원 ~ 700원까지 비싼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4개 업체는 일정금액 이상 배달주문 시 별도의 배달료가 청구되지 않는 대신 배달제품 가격에 배달료 등 배달서비스로 인한 제반비용이 포함돼 있다고 밝혔다.

◆배달제품 많이 주문할수록 소비자 부담 늘어나는 구조
4개 업체의 배달제품 가격 차별화 정책은 시중 배달료를 고려하면 소비자에게 일부 유리한 경우도 있지만, 배달제품을 여러 개 주문할수록 매장구입 때보다 더 많은 금액을 부담하게 된다는 점에서 소비자에게 불리한 것으로 조사됐다.
4개 업체에서 무료배달이 가능한 최소주문금액에 맞춰 햄버거 세트와 사이드 메뉴를 구입해본 결과 배달 시 제품가격이 매장구입 시보다 최소 1,200원에서 최대 3,100원까지 비쌌다.

또 4인 가구를 기준으로 각 업체에서 특정 햄버거 세트를 4개씩 주문하는 경우 배달 시 제품가격이 매장구입 시보다 최소 4,000원에서 최대 4,800원까지 비싸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배달주문 시 매장과 제품가격이 다르다는 정보 제공 미흡
4개 업체가 운영하고 있는 홈페이지 및 모바일 앱을 모니터링한 결과, 주문 및 결제 과정에서 배달주문과 매장구입 간 제품가격이 다르다는 정보를 제공하는 업체는 2곳에 불과했다.
주요 3개 배달 플랫폼에서도 4개 업체 모두 해당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다.
특히 배달 플랫폼의 경우 배달료 관련 정보가 전혀 표시되지 않거나 배달료가 ‘0원’ 또는 ‘무료’로 표시되고 있었다.
한국소비자원 시장조사국 거래조사팀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조사대상 사업자에게 ▲주문 및 결제 과정에서 주요 거래조건을 명확하게 알리도록 권고했다”며, “주요 배달 플랫폼 사업자에게는 ▲매장가격과 배달가격이 다르다는 사실 등을 배달 플랫폼 내에 쉽게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할 것을 요청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한편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 가격정보 제공 실태조사 결과는 (본지자료실)을 참고하면 된다.
[메디컬월드뉴스]

관련기사
TAG

라이프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