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당뇨 환자가 흡연할 경우, 노인성난청 발생 확률이 약 2배 증가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과거에 흡연했지만, 지금은 담배를 피우지 않는 당뇨 환자는 노인성난청 발생 확률이 크게 높아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당뇨 환자의 금연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세대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정진세, 배성훈 교수팀은 각 질환이 독립적으로 얼마나 노인성난청과 연관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교란변수를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성향점수매칭’ 기법을 이용했다.
교수팀은 2010년~2013년 3만 3,552명을 대상으로 시행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했다. 성별, 직업성 소음 노출, 흡연, 고혈압, 당뇨, 이상지질혈증, 뇌혈관질환, 심혈관질환, 비만을 변수로 정해 성향점수매칭을 수행했다.
각 변수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직업성 소음에 노출될수록 1.78배, 남성이면 1.43배, 당뇨를 앓고 있으면 1.29배, 고혈압은 1.16배 더 노인성난청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흡연, 이상지질혈증, 뇌혈관질환, 심혈관질환, 비만은 유의하지 않았던 변수로 나타났다.
각 변수 간의 시너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두 가지 질환을 동시에 앓고 있는 환자들의 노인성난청 유병률도 조사했다.
분석 결과, 흡연과 당뇨가 동시에 있는 경우에는 1.96배, 고혈압과 당뇨가 동시에 있는 경우는 1.39배 더 노인성난청과 관련성이 높았다.
또 당뇨가 있는 과거 흡연자와 현재 흡연자의 노인성난청 관련성을 비교했다.
당뇨가 있는 현재 흡연자의 경우 1.89배 더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하지만, 당뇨가 있는 과거 흡연자의 경우는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정진세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현재 흡연을 하는 당뇨 환자라도, 금연할 때 노인성난청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직업성 소음 노출의 경우, 소음성 난청 예방 목적의 제도적 장치들이 국내에 많이 도입되어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당뇨나 흡연이 노인성난청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은 아직 많이 알려지지 않아, 이번 연구결과가 노인성난청 예방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의 국민건강임상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다.
이번 연구결과는 최근 국제학술지 Scientific Reports(IF 3.998)에 ‘노인성난청에 미치는 흡연과 당뇨의 시너지효과’라는 주제로 게재됐다.
한편 노인성난청은 전 세계적으로 65세 이상 인구의 1/3에서 발병하는 매우 흔한 질환이다.
최근에는 노인성난청이 인지기능 저하, 치매, 우울증, 낙상 등의 위험요소가 될 수 있고, 고혈압, 당뇨, 흡연, 비만 등과의 연관성도 밝혀졌다. 하지만 지금까지 마땅한 치료방법은 알려지지 않았다.
향후 국내 고령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노인성난청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해, 노인성난청의 예방은 중요한 사회적 이슈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 T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