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코로나19 백신 폐기 방지 전략 적극 추진…예비명단 활용 등 안전한 백신 유통관리도 집중 2021-04-29
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 이하 추진단)이 접종 당일 개봉 후 폐기되는 백신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들을 적극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명단, 사전 작성 활용 가능
우선 접종기관이 예비명단을 사전 작성 활용하도록 하는 지침을 3월 말부터 시행 중이다.
코로나19 예방접종 시 당일 건강상태를 이유로 접종을 못 받는 등 접종 미참여자가 발생하거나, 백신 1바이알 당 접종 가능 인원보다 예약자가 적으면 접종 후 잔여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미 개봉한 백신은 당일 접종이 원칙이어서 잔여량을 폐기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예비명단을 적극 활용하도록 한 것이다.
예비명단 대상에는 별도 제한이 없으며, 예비명단이 아니라도 접종이 가능하다. 예비명단 확보가 어려울 경우 해당 의료기관에 타 진료 등으로 내원한 환자 및 보호자를 접종할 수 있다.


◆폐기량 최소화 추진
추진단은 보관과정에서 온도일탈 방지 등 안전한 백신 유통관리에도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설명이다.
이와 관련해 지방자치단체의 철저한 백신 관리감독을 지속적으로 당부하고, 백신사용 관리에 부주의가 없도록 지도 점검해 보관과정에서 부주의로 인한 폐기량이 최소화되도록 지속적으로 관리한다는 방침이다.
4월 27일 기준 백신 보관과정에서 관리부주의에 따른 온도일탈 원인 등으로 폐기대상으로 분류된 경우는 25개 기관 164바이알이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홍남기(국무총리 직무대행) 본부장은 “지난 27일까지 259만명이 1차 접종을 받았으며, 앞으로 3일간 백신접종을 착실히 진행하여 4월 300만 명 접종약속을 꼭 지키고, 정부가 발표한 계획대로 백신이 차질없이 도입·공급되도록 최우선적으로 대응해 나가겠다”며, “백신수급문제의 근본 해법 중 하나가 백신 자주권 확보 즉 국내백신 개발로, 정부는 올해 말이나 늦어도 내년 초 국내 백신이 개발될 수 있도록 전임상·임상·생산 전주기에 걸쳐 총력 지원 중이다”고 강조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TAG

라이프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