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코로나19 바이러스 연구 가능한 제약사 연구시설 ‘0’ 정부, 코로나19 바이러스 7종 중 2종만 연구용 공급 중 2020-10-08
임재관 newsmedical@daum.net

코로나19 발생 이후 정부가 민간 제약사 등에 제공한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전체 7가지 종류 중 단 2종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질병관리청은 2월 11일 부터 9월 7일까지 총 263건의 바이러스를 연구용으로 분양해 왔지만 S타입 233건, L타입 30건으로 단 2종류의 바이러스만 제공하고 있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서정숙(국민의힘)의원이 7일 보건복지부 국정감사에서 “현재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하여 총 7가지로 분류하고 있음에도 정부는 여태껏 단 2종만 연구용으로 분양하고 있다”며,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기초적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
또 “우리나라의 감염 상황을 살펴보면, 지난 5월 이태원클럽발 감염확산 이후 GH형 바이러스가 주로 전파되고 있고 질병관리청 역시 코로나19 감염확진자 1,040명의 유전자 서열 정보를 분석을 통해 GH타입이 67.4%로 가장 많다는 것을 알고 있었음에도 4.5%에 불과한 S타입과 L타입만을 연구기관 등에 계속 제공해 온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다”고 지적했다.


(표)국내 코로나19 감염자 바이러스 유전자 서열 정보

질병관리청이 이태원 감염사태 이후 4개월이나 늦은 9월 15일 GH 등 다른 타입의 바이러스 분양에 나서겠다고 하는 것은 코로나19 종식에 필수적인 백신·치료제 개발을 위한 인프라 조성의 구체적인 계획 없이 미봉책에만 급급한 것은 아닌지 강한 의문을 제기했다.
이와 함께 백신 및 치료제 개발 제약사가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직접 시험할 수 있는 민간 바이러스 연구시설도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 의원실이 질병관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직접 연구할 수 있는 생물안전 3등급(BL-3) 이상의 시설은 국내 72개이지만, 이 중 민간기관은 2개에 불과했다.


특히 백신·치료제를 직접 개발하는 제약회사가 보유한 시설은 전무하여, 국내 제약사들은 바이러스 관련 시험 모두를 외부 위탁하고 있어 자체 연구 인프라 확충이 시급한 실정이다.
질병관리청은 9월 13일 발표를 통해 민간 제약사 등 19개 기관의 시험시설 사용 신청에 대해 10곳을 허가했다고는 하지만, 해외 제약사들의 인프라와는 비교조차 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해외사례를 살펴보면 중국의 코로나19 백신 개발의 선두 주자인 우한생물학연구소는 BL-3 시설로 백신을 직접 개발하고 있으며, 현재 백신 임상 3상을 진행 중인 영국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와 미국 화이자 역시 BL-3 수준의 시험시설을 갖추고 백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질병관리청은 정부 연구과제로서 치료제 및 백신 개발을 위하여 총 17억의 예산을 투입하고 있으나 정부의 바이오제약산업 육성에는 충분치 않아 한국의 바이오제약산업이 세계적 역량을 갖추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서 의원은 “정부는 이러한 지적에 대해 ‘GH형의 분양은 절차를 밟느라 늦었고, S,L형은 긴급한 위기 상황이라 즉시 분양했다’고 입장을 밝혔는데, 과연 2월에 비해 GH형이 유행하기 시작했던 5월이 덜 긴급한 상황이었는지 묻고 싶다”며, “정부가 코로나19 위기상황이라며 온 국민에게 이라며 희생을 강요하고 있는데, 정작 질병관리청은 절차적 문제를 논하며 늑장대응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메디컬월드뉴스]

관련기사
TAG

라이프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