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재관 newsmedical@daum.net
치매국가책임제가 시행된 지 약 3년이 지난 상황에서 그동안의 성과는 물론 향후 추진방향 등이 제시됐다.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제13회 치매 극복의 날을 맞아 지난 3년간의 성과를 돌아보는 행사를 개최했다.
◆치매관련 주요 정책 추진 예정 사항
복지부는 앞으로 더욱 다양한 치매관련 정책을 수행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제4차 치매관리종합계획 수립·발표
우선 돌봄 경로에 따른 치매환자 관리체계 구축, 치매관리사업 내실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제4차 치매관리종합계획(2021∼2025)’을 2020년 9월말 수립·발표한다.
▲비대면 프로그램 확산, 치매 인프라 지속적 확충 등
특히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상황에 대비하여 정보기술(IT)을 활용한 비대면 프로그램[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활용한 양방향 치매예방 프로그램, 카카오톡 채팅방을 이용한 단체 뇌운동 활동 등] 확산, 충분한 거리 두기가 가능한 야외활동(숲체험, 텃밭정원 가꾸기 등 야외활동을 치매안심센터의 치매환자 및 가족 대상 프로그램과 연계)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 치매전담형 장기요양기관이나 치매전문병동 같은 치매 인프라도 지속적으로 확충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치매국가책임제 3년간 주요 성과
복지부는 지난 2017년 9월 치매환자와 가족의 경제·심리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국가와 사회의 책임성을 강화한 ‘치매국가책임제’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 따라 치매안심센터를 통한 치매통합서비스 제공, 장기요양서비스 확대, 의료지원 강화, 치매 친화적 환경 조성 등 종합적 치매 지원 체계를 구축해 왔다.
▲전국 치매안심센터 기반시설(인프라) 확충 및 통합서비스 제공…이용자 서비스 만족도 90점
2019년 12월, 전국 256개 모든 치매안심센터가 인력 및 기능을 갖추어 정식 개소했으며, 치매환자와 가족들에게 상담, 검진, 1:1 사례관리 등의 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금까지 60세 이상 어르신 372만 명(치매환자 50만 명)이 치매안심센터를 방문하여 상담, 검진과 더불어 쉼터를 통한 낮 시간 돌봄, 인지 강화 프로그램 제공 등을 받았다.
보호자도 치매안심센터 내 가족 카페를 이용하여 치매환자의 쉼터 이용시간 동안의 휴식, 가족 간 정보교환, 자조모임 지원 등을 받을 수 있었다.
또 올해는 코로나19 상황 장기화로 인해, 찾아가는 진단검사 등 방문형 서비스와 동영상 콘텐츠 등 온라인 자원을 활용한 비대면 서비스를 강화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치매안심센터 이용자의 서비스 만족도는 2018년 조사결과 88.7점, 2019년 90점으로 매우 높은 수준이다.
▲장기요양 서비스 확대
2018년 1월부터 인지지원등급을 신설하여 경증 치매환자도 장기요양 등급을 받아 장기요양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돼 2020년 7월 기준으로 1만 6984명의 경증 치매환자가 인지지원등급을 새로 받게 됐다.
또 2018년 8월에는 장기요양비 본인 부담 경감 대상자와 경감 폭을 대폭 확대해 치매환자와 보호자의 부담을 완화했다.
공립 요양시설이 없는 지역을 중심으로 치매전담형 공립장기요양기관 110개소의 단계적 확충도 함께 추진하고 있다.
▲의료지원 강화
2017년 10월 건강보험 제도개선을 통해 중증치매환자의 의료비 부담비율을 최대 60%에서 10%로 대폭 낮추었다.
2018년 1월부터는 신경인지검사[SNSB(서울신경심리검사) : 40만 원 → 15만 원, CERAD-K(한국판 CERAD 평가집) : 20만 원 → 6만5000원]와 자기공명영상검사(MRI: 약 60만 원 → 14∼33만 원(상급병원기준) 등 고비용 치매검사의 건강보험 적용을 통해 본인부담금을 줄였다.
또 환각, 폭력, 망상 등 행동심리증상(BPSD)이 심한 치매환자의 집중치료를 위한 치매전문병동을 전국 공립요양병원 60개소에 설치하고 있다.
▲치매 친화적 환경 조성
지역주민들이 치매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하고 치매환자와 가족을 지원하는 치매 친화적 환경의 치매안심마을이 전국 339곳에 운영되고 있다.
치매안심마을에는 마을 내 병원 주치의와 연계, 치매환자 외출동행 봉사단 운영, 은행·카페 등 ’치매안심프렌즈‘ 지정·운영 등 치매환자와 가족이 안심하고 안전하게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다.
정신적 제약으로 의사결정에 어려움을 겪는 치매환자의 의사결정권 보호를 위해 2018년 9월부터 치매공공후견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후견인은 통장관리, 관공서 서류발급, 복지서비스 신청, 병원 진료·약처방 등에 대한 치매환자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며, 지난 8월 기준으로 122명의 치매 어르신이 공공후견인의 도움을 받고 있다.
치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치매인식 개선·확산을 위해 홍보활동과 자원봉사에 참여하는 치매파트너가 총 100만 명이 양성되어 활동중이다.
일정 교육 이수 후 자원봉사, 치매선별검사 지원 등의 적극적인 활동을 수행하는 치매파트너 플러스는 16만 명이다.
이외에도 국가치매연구개발계획(’18년 6월)에 따라 2020년부터 9년간 2,000억 원을 투자해 치매원인 진단, 치료기술 개발연구 등을 추진하게 된다.
◆제13회 치매 극복의 날 기념 행사 개최
복지부는 제13회 치매 극복의 날을 맞아 치매국가책임제 3년의 성과를 돌아보는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김정숙 여사도 영상메시지를 통해 “본인 또한 치매를 앓고 계신 어머니를 둔 치매가족 중 한 사람으로서 그 동안 치매극복을 위해 애쓰신 공로자 분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며, “문재인 정부의 주요공약인 치매국가책임제가 시행된 이후 3년간 치매환자와 가족분들의 고통과 부담이 조금은 줄었을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 “앞으로도 계속 국가와 사회가 함께 고민하고 관심을 가짐으로써 치매라는 높은 벽을 극복해 나가길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행사에는 치매국가책임제 3년의 성과를 위해 헌신해온 분들에 대한 포상도 진행됐다.
포상규모는 국민포장 1점, 대통령표창 5점, 국무총리표창 7점 등 총 13명에 대한 정부포상이 이루어졌으며, 165명의 유공자에 대해서는 장관표창이 수여됐다.
올해는 코로나19로 인해 행사현장에는 50인 미만의 최소인원만 참석하여 진행됐으며, 행사 전반에 대한 내용은 이번 행사를 주관하는 중앙치매센터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 생중계됐다.
복지부 곽숙영 노인정책관은 “유공자와 관계자 뿐만 아니라 치매환자와 가족분들까지 정말 많은 분들의 헌신과 노력, 그리고 참여가 있어 지금까지의 성과를 낼 수 있었다”며, “보다 많은 치매환자와 가족분들이 치매로부터 안심하고 살아가실 수 있는 나라를 만들기 위해 정부도 앞으로 더욱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메디컬월드뉴스]
- T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