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의대협)가 의사 국가고시 거부를 잠정 유보한 것은 물론 동맹휴학도 중단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전국 의대생들이 본교로 돌아갈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다만 의대협은 ‘보건의료 정책 상설감시기구’를 구성해 실질적인 활동을 한다는 방침이다.
◆의협 “학생들의 고뇌와 결정을 전적으로 신뢰하고 존중한다”
의협은 “정부가 일방적으로 추진한 잘못된 의료정책을 바로잡기 위해 나선 의대생과 의전원생들의 순수한 용기와 열정, 그리고 헌신은 13만 선배 의사들의 가슴에 큰 울림과 부끄러움을 함께 남겼다”며, “학생들의 고뇌와 결정을 전적으로 신뢰하고 존중한다”고 말했다.
또 학생들의 바람처럼 절차탁마의 각오로 새로 거듭날 것이라는 입장도 제시했다.
의협은 “믿음에 어긋남이 없이, 철저하게 준비하여 여당과 정부가 약속을 빈틈없이 이행토록 하고 의료제도가 바로 서도록 할 것이다”고 밝혔다.
정부에 대해서는 “일방적 정책 추진과 불통, 오만, 독선으로 의학 공부에 매진해야 할 학생들을 거리로 불러낸 정부는 의대, 의전원 학생들의 이러한 결정을 무겁게 받아들이고 마땅히 책임을 져야 한다”며, “진정성을 의심케 하는 일부 인사들의 부적절한 언사와 행동에 대하여 깊은 유감을 표하며 합의의 성실한 이행을 촉구하는 바이다. 현재의 상황을 가벼이 여김으로써 발생하게 될 모든 예측가능한 결과의 책임은 오직 정부에게 있다는 것도 분명하게 밝힌다”고 강조했다.
◆전국 16개 광역시·도의사회장 협의회 성명서 발표
전국 16개 광역시·도의사회장 협의회(이하 협의회)도 성명서를 통해 “학생들의 결정을 존중하며 전폭적으로 지지한다”며, “정부가 해당 법안을 재검토하고 국민을 위한 의료 정책을 펼치는지 선배 의사들과 지켜보겠다. 정부와 국회가 잘못된 의료정책을 강행하는 순간 재차 단체행동에 나설 것이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정부의 무리한 4대 의료 악법 추진에 맞서 의사 국가고시와 수업거부에 나섰던 의과 대학생들에게 정부는 할 수 있는 조치를 다 해 국가 의료 체계를 지켜내는 노력을 기울여 줄 것을 촉구한다. ▲16개 광역시도회장들은 현재 의협의 혼란한 상황에 책임을 통감하고, 최대집 회장의 납득할 수 있는 사과를 요구하며, 학생 및 전공의 협의회와 깨어진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기를 촉구한다. ▲젊은 의사들의 의견이 적극 반영 될 수 있는 의정 협상단 구성을 권고하며 학생을 포함한 의료계의 전 직역이 참여하는 보건의료정책 상설 감시기구 설치를 권고한다. ▲정부와 여당의 약속 불 이행시 전국 의과대학 교수 협의회 교수님들은 앞장서서 전공의 및 학생들과 함께 투쟁에 나설 것을 부탁드리며 16개 시도 의사회도 즉시 단체 행동에 동참할 것을 천명한다는 입장이다.
한편 의사 국가고시 추가 응시 가능여부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 T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