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심부전이 없는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게 베타차단제 치료를 1년 이상 유지 시 사망 위험을 약 20% 감소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한주용, 김지훈 교수, 임상역학연구센터 조주희, 강단비 교수팀(1저자: 순환기내과 김지훈/임상역학연구센터 강단비 교수, 교신저자: 순환기내과 한주용/임상역학연구센터 조주희 교수)은 국민건강보험공단 국가코호트에서 심근경색 환자 중 심부전이 없는 18세 이상 2만 8,970명을 3.5년간 추적관찰 한 자료를 분석했다.
특히 약물역학연구에서 범하기 쉬운 조기발견기간 오류(immortal time bias)를 방지하기 위해 랜드마크 분석(Landmark Analysis) 기법을 사용, 1년, 2년, 3년 이상의 베타차단제 치료 효과를 평가했다.
교수팀에 따르면 추적 관찰 중 확인된 사망 건수는 모두 1,694건으로, 베타 차단제 1년 미만 유지시 1000인년 당 25.7건의 사망이 보고된 반면 베타차단제를 1년 이상 유지 할 시에는 1000 인년 당 13.1 건 발생했다.
두 군의 기본 특성, 다른 치료력, 질환력 등을 통제한 후에도 베타차단제 1년 이상 유지시 사망 위험이 유의미하게 낮았다.
또 급성심근경색의 재발,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한 경우 등에서도 베타차단제 1년 이상 유지 군의 위험도가 18% 낮게 평가됐다.
이러한 결과는 2년 및 3년 이상의 베타차단제 사용 시에도 비슷한 경향을 보여 베타차단제 사용이 장기 사망 및 관련 질환 발생의 위험을 낮추는 것으로 풀이됐다.
한주용 교수는 “급성심근경색은 재관류 치료의 도입 이후 치료 성적이 크게 개선되었지만 아직도 사망률이 높은 질환이며, 생존 환자의 일부는 심부전으로 인해 크게 고통을 받는다”며, “급성심근경색 후 장기적 예후 향상을 위한 치료의 표준화를 위한 추가적인 연구들이 계속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심혈관계 분야에서 피인용지수가 가장 높은 ‘유럽심장학회지 (European Heart Journal, IF=24.889)’ 최근호에 게재됐다.
한편 베타차단제는 심장의 허혈 부담을 줄여주고 항부정맥 효과 등이 있는 반면 서맥, 저혈압, 파행과 같은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어 적절한 치료기간을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국제 가이드라인은 특별한 금기가 없는 한 모든 급성 심근경색의 초기에 베타차단제 치료를 시작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다만, 심부전이 없는 환자의 경우 언제까지 베타차단제 치료를 유지할 것인지 알려진 바가 없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 T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