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재관 newsmedical@daum.net
수도권 내 각 지자체가 코로나19 병상을 공동으로 활용하는 ‘수도권 병상 공동대응체계’가 마련된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이하 중대본)는 이같은 대응체계를 전국으로 확대해 간다는 계획이다.
◆서울, 인천, 경기…수도권 병상 공동대응체계 운영
서울, 인천, 경기 등 3개 광역지방자치단체는 하나의 생활권을 이루고 있는 수도권에서는 많은 인구가 밀집되어 있고, 통근·통학 등 주기적으로 이동하는 사람이 많아 작은 감염이 폭발적인 확산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이에 따라 수도권 병상 공동대응체계를 통해 한 지자체에서 감당하기 어려운 집단 감염이 발생할 경우 행정적 경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의료공백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됐다.
그간 복지부, 3개 지자체 및 지자체별 전문가(의료진)가 모여 협력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실무협의를 진행했다.
이를 통해 정부와 지자체는 코로나19 1일 확진자 발생 규모에 따라 1~4단계로 구분하고, 단계별로 공동 대응 체계를 가동한단는 계획이다.
(표)단계별 공동대응방식
◆1일 확진자 100명 미만(1·2단계)인 경우 대응
1일 확진자 100명 미만(1·2단계)인 경우에는 각 지자체가 기본적인 수요에 따라 거점전담병원(중증·중등증 환자를 이송·치료하는 감염병 전담병원 중 지자체가 지정)과 공동생활치료센터(경증·무증상 환자의 격리 생활 및 치료를 지원하는 생활치료센터 중 지자체가 지정)를 지역별로 1~3개소 지정해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각 지자체간 협의를 통해 확진자를 배정한다.
◆1일 확진자 100명 이상(3·4단계)인 경우
1일 확진자가 100명 이상(3·4단계)인 경우에는 병상의 공동활용이 시급하므로 다음과 운영한다.
▲통합 환자분류
1일 확진자 100명 발생 시점으로부터 24시간 이내에 지자체 공무원, 전문가(의료인), 방역당국으로 구성된 통합 환자분류반을 설치한다.
통합 환자분류반은 수도권 내 3개 지자체 간의 병상 교류·배정에 관한 신속한 의사결정, 실시간 정보 교류 등을 위한 거버넌스로 각 지역의 중증도별 병상현황을 파악하고, 지역별 한계가 초과하면 타지역으로 병원을 배정하게 된다.
▲협력병원 및 공동생활치료센터 지정·운영 등 협력수준 상향
또 기존의 지역별 거점전담병원을 수도권 협력병원으로 지정한다. 수도권 협력병원에는 인근 환자들을 행정경계에 관계없이 배정하고, 의료인력과 자원을 집중해 환자 폭증 상황에도 신속한 병상배정과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5월11일부터 실무협의체 구성·운영
중대본은 5월 중 1·2단계에 해당하는 거점전담병원과 생활치료센터, 3·4단계에 해당하는 수도권 협력병원과 공동생활치료센터의 지정 계획을 수립, 지정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구체적인 공동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실무협의체는 5월11일부터 구성·운영된다.
또 5월 말부터는 이러한 수도권 모형을 토대로 충청권·호남권·경북권·경남권·제주권 등 전국 권역별 협력체계를 추가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메디컬월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