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체질량 지수 30 미만시 심혈관질환 잘 나타내는 지표 ‘근육량 대비 복부지방량’ 분당서울대병원 김주영 교수, 한국인의 심혈관질환 위험도와 관련한 근육량 감소 지표 증명 2019-03-20
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특정 한 가지 지표로 심혈관질환의 위험도를 정의하기는 어려운 상황에서 한국인에게 발생하는 심혈관질환의 위험 요인을 가장 잘 반영하는 지표를 찾기 위한 연구결과가 발표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 

분당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김주영 교수팀은 2008년부터 2011년까지 한국인 1만 7,870명을 대상으로 사지 근육량을 (1) 키, (2) 체중, (3) 체질량 지수(BMI·체중을 신장의 제곱으로 나눈 값), (4) 체지방을 보정한 지표, (5) 근육량과 복부지방의 비율 총 5가지 지표로 나눠 비교했다.


이번 연구 결과 비만도에 따라 심혈관질환 위험도를 나타내는 지표에 차이를 보였으며, 먼저 체질량 지수가 30 미만으로 고도비만이 아닐 때 심혈관질환을 잘 나타내는 지표는 ‘근육량 대비 복부지방량’으로 확인됐다. 

즉 근육 자체의 양이 줄어들 때보다는 근육량에 비해 지방이 과다하게 축적돼있을 때 심혈관질환의 위험도와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또 교수팀은 근육량과 복부지방의 비율이 정상체중군의 심혈관질환을 판단하는 데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와 달리 체질량 지수가 30 이상으로 고도비만인 경우에는 ‘키로 보정한 근육의 절대량’ 지표가 심혈관질환의 위험도를 더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주영 교수는 “허리둘레와 같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비만도의 기준만으로 심혈관질환을 평가하면 저체중이나 정상체중에 있는 사람에게 발생하는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간과하기 쉽다”며, “일례로 아시아인은 서양인에 비해 비교적 낮은 체질량지수를 보임에도 심혈관질환 위험도는 높은 편이다”고 말했다.

또 “이번 연구에서 증명된 결과는 향후 정상체중군에 속하지만 대사학적으로는 비만인 위험군을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될 가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가 발행하는 SCI급 국제 학술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됐다.  


한편 신체 근육량이 줄어들면 자연스레 활동량도 적어지면서 고혈압, 허혈성 심장 질환, 관상동맥 질환과 같은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높이며, 이로 인한 사망률 역시 증가하는 등 근육 감소는 심혈관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러나 현재 이러한 근육 감소를 나타내는 지표로 일정하게 쓰이는 기준이 없고, 개개인의 성별·연령·키·체중에 따라 정상 근육량의 기준이 다르다는 점에서 특정 한 가지 지표로 심혈관질환의 위험도를 정의하기는 어려운 실정이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제시한 아시아-태평양 체질량지수 권고기준]

①저체중 : 18.5kg/m2 미만 

② 정상범위 : 18.5~22.9kg/m2 

③ 과체중 : 23~24.9kg/m2

④ 비만 : 25~29.9kg/m2

⑤ 고도비만 : 30kg/m2 이상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TAG

라이프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