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국내 교수팀이 근육에서 세포소기관의 상호작용을 제어해 인슐린 저항성과 당뇨병을 치료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은 경북대의대 이인규 교수와 대구가톨릭대의대 임재찬 교수가 이같은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제시했다.
교수팀은 세포소기관으로부터 질병의 원인과 치료법을 찾아내기 위해 근육에서 미토콘드리아(생체에 필요한 에너지를 생산하는 세포소기관) 효소인 PDK4가 세포소기관을 조절해 인슐린 저항성이 유발됨을 확인했다.
실제 PDK4가 결핍된 생쥐에서 미토콘드리아-소포체의 상호작용이 억제되어 근육의 인슐린 저항성이 개선됐다.
연구 결과, 비만 동물의 근육에서 PDK4가 증가하면 미토콘드리아와 소포체 사이의 연결이 과도하게 증가하고, 이 네트워크를 통해 미토콘드리아로 칼슘 유입이 증가하면서 미토콘드리아 기능 부전과 인슐린 저항성이 생기는 것을 확인했다.
이인규 교수는 “지난 연구에서 PDK4를 억제해 간의 포도당 생성을 제어한 데에 이어, 이번 연구에서 PDK4를 억제해 근육의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켰다”며, “향후 PDK4를 억제하는 신규 당뇨병 치료제 개발을 지속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 X프로젝트),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연구결과는 당뇨병 분야 최고 권위지인 ‘당뇨병(Diabetes)’에 2018년 12월 6일 게재됐다.
한편 국내 당뇨병 환자는 꾸준히 증가하여 30세 이상 성인의 7명 중 1명(14.4%)에 달한다. 현재 처방되는 약물요법으로는 증세를 관리하는데 그칠 뿐, 근본적인 치료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 T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