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일반적으로 감염병 치료가 잘 되지 않을 때 항생제 내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하지만 비결핵항산균 폐질환의 경우 이러한 항생제 내성이 드문데도 치료가 잘 되지 않는 이유가 명확하지 않았다.
이런 가운데 비결핵항산균 폐질환 치료가 어려운 경우 주변 환경을 통해 환자 몸 속으로 새로운 균이 지속적으로 유입되고 있기 때문이라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고원중 교수팀은 난치성비결핵항산균폐질환 환자 49명으로부터 배양된 500개 이상의 균을 분석해 이 같이 밝혔다. 이들은 평균 약 32개월 치료받았지만, 균이 제거되지 않고 객담검사에서 양성반응이 나타났다.
비결핵항산균은 결핵균과 나병균을 제외한 항산균을 말하며, 현재 150여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는 마이코박테리움아비움 복합체(mycobacterium avium complex)란 균이 가장 흔하다.
하천과 수돗물, 토양 등 자연환경에 널리 분포하며, 온수샤워시 발생하는 수증기에도 섞여 있어 누구나 매일 노출되는 균 중 하나다. 병원성이 낮고,사람 사이 전염이 없다 보니 다른 균에 비해 덜 알려져 있을 뿐이다.
하지만 비결핵항산균의 위험성은 다른 감염병 못지 않다. 특히 폐질환을 주로 일으키게 되는데 증상과 징후가 비특이적이고, 경과를 예측하기 힘들 때가 많다.
또 일부 환자는 병의 진행 경과가 빨라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1~2년 이내 폐가 망가져 사망에 이르는 경우도 있다. 기관지확장증 등 만성폐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라면 더욱 조심해야 하는 균이다.
교수팀은 2002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10년간 병원에서 치료받은 환자 중 균주 배양까지 마친 49명으로부터 배양된 500개 이상의 비결핵항산균 특징을 유전자 분석했다.
그 결과, 기존 감염균을 보유하고 있으면서 내성을 보인 환자는 전체 27%(13명)에 불과했고, 나머지 73%(36명)은 유전자 특징이 전혀 다른 새로운 균에 감염되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중 49%(24명)는 완전히 다른 균만 가지고 있는 경우였고, 24%(12명)는 기존 균과 함께 다른 균이 뒤섞여 있었다.
환자가 새로운 균에 재감염 되는 데까지 걸린 시간은 치료를 시작한 지 평균 12개월 소요됐으며, 25%는 6개월 이내로 집계됐다. 치료가 더뎌 항생제 내성이 생긴 것으로 착각하기 쉽지만, 새로운 감염이 숨어 있었던 셈이다.
고원중 교수는 “비결핵항산균은 정수처리 과정 중 염소로 소독해도 살균되지 않을 만큼 끈질기다”며, “만성폐질환 환자라면 온수로 샤워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할 만큼 환자의 건강을 위협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비결핵항산균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일상 환경에 얼마나 퍼져있는지 정확한 실태조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고 교수는 “선진국에선 환자 가정으로 공급하는 수돗물과 샤워꼭지 등에 대해서도 비결핵항산균이 있는지 조사하고, 감소시키기 위해 노력한다”며, “우리나라는 아직 기초 연구도 부족한 만큼 이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미국 흉부학회 학술지‘호흡기 및 중환자의학(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인용지수 15.239)’ 최근호에 게재됐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 T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