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에서 p53 발현을 확인하고 항암치료를 하는 것이 환자의 예후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유방내분비외과 배수연 교수팀은 유방암에서 가장 흔한 유전자 변이인 TP53(Tumor Protein P53) 변이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으며 유방암에서 발견되는 p53 단백질 발현과 항암치료의 효과에 대한 연관성도 규명했다.
배 교수팀은 한국유방암학회에 등록된 1만 8,402명을 대상으로 차세대염기서열분석 등의 고가의 최신기술을 이용하지 않고 면역조직화학 결과만을 이용해 삼중음성유방암 환자에서 P53 단백질발현과 항암치료 효과의 연관성을 규명했다.
p53이 발현되는 경우 발현되지 않는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에 비해 예후가 불량하며, p53이 관찰되는 환자에서는 항암치료를 시행한 경우에 생존율이 의미 있게 증가했다.
배 교수는 이같은 연구결과를 지난 11월 23일~25일 싱가포르에서 개최한 유럽종양내과학회 아시아 심포지엄(European Society for Medical Oncology Asia Congress)에서 발표해 Merit Award를 수상, 연구팀의 우수성과 이번 연구의 중요성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 또 이번 연구(Differences in prognosis and efficacy of chemotherapy by p53 expression in triple-negative breast cancer)를 유방암 연구 관련 최고의 SCI 저널인 Breast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2018년 11월호에 게재해 학계의 주목도 받았다.
배 교수는 “이번 p53 발현과 삼중음성 유방암의 항암치료 효과 연구를 통해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들의 치료 방법과 재발방지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되며 더 나아가 p53이 발현되는 다양한 암종의 치료방침과 예후 판정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편 유방암은 여성암중 2번째로 흔하며 최근 서구화된 식생활습관으로 국내에서도 급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방암은 수술, 방사선치료, 항암치료, 항호르몬치료, 표적치료, 면역치료등의 여러 치료법이 있으며 치료효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유방암의 종류 중 호르몬수용체와 Her-2 수용체가 모두 없는 삼중음성 유방암의 경우 치료법이 많지 않아 나쁜 예후를 보이는데, 그에 따라 삼중음성 유방암에 대한 치료법과 그 효과에 대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TP53 유전자는 암을 억제하는 유전자로 변이가 있는 경우 여러 암을 발생시키며 특히 유방암에서 흔히 발견되는 유전자 변이이다. 유방암에서 TP53 유전자 변이와 암치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으나 이 TP53 유전자 변이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변이로 인한 암 발생의 기전도 예측하기 매우 어려워 많은 연구에서 서로 다른 결과를 발표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각광받고 있는 차세대염기서열분석을 통해서도 TP53 유전자변이와 p53 단백질발현의 기전을 밝혀내지 못하고 있어 많은 연구자들이 당혹스러워하는 유방암 연구의 가장 어려운 난제이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