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원 newsmedical@daum.net
매년 수많은 여성들이 자궁선근증을 진단받은 이후 자궁적출을 권유받고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자궁을 적출하지 않으면서 병변 부위만 선택적으로 제거하거나 비침습적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기회가 늘어나고 있다.
강남권산부인과 권용일(대한산부인과학회 정회원) 원장은 “발병 초기에 선근증을 발견하는 경우 수술에 앞서 하이푸(고강도 집속초음파, HIFU) 등 혁신적인 비침습 치료법을 시도해 볼 수 있다.”라고 말했다.
◆자궁선근증
자궁선근증은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 근육층에 비정상적으로 자리잡아 자궁이 커지며, 정상 조직과 병변 조직의 경계가 불분명해지는 난치성 질환이다.
병변의 진행에 따른 증상은 개인별로 다양하게 나타나며, 심한 생리통, 과다출혈, 부정출혈, 골반통, 빈혈 등 다양한 증상을 동반한다.
권용일 원장은 “오랜 기간 방치할 경우, 자궁이 비대해지고 돌처럼 단단하게 변하며 마치 임산부처럼 복부 팽만감이 나타날 수도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미지 설명 : 자궁선근증 환자 MRI)
◆생리 반복될수록 자궁선근증 위험 증가
특히 생리가 반복될수록 자궁선근증의 위험이 증가한다.
현대 여성들의 초경 연령대가 빨라지고, 늦어지는 임신 연령으로 전체적인 생리 기간이 길어지면서 젊은 여성들의 자궁선근증 발병률이 높아지는 추세다.
권용일 원장은 “선근증의 명확한 발병 원인은 아직 규명되지 않았지만 유전, 호르몬, 환경 요인이 모두 함께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라고 밝혔다.
◆자궁적출 권유 받는 현실
자궁선근증은 대부분 질환이 어느정도 진행된 상태에서 발견되며, 일부 환자들의 경우 증상이 명확하지 않아 병원을 뒤늦게 찾는 경우도 많다.
그 결과, 여러 환자들이 조기에 자궁 적출을 권유 받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는 병변 부위와 정상 자궁 조직의 경계가 불명확하여 수술의 난이도가 매우 높기 때문이다.
권용일 원장은 “실제로 자궁근층 깊숙한 위치에 자리잡은 선근증을 수술하는 경우에는 절제와 봉합, 출혈관리 등 여러가지 까다로운 변수들이 존재하여, 수술 경험이 부족한 경우 합병증의 위험 또한 매우 높다.”라며, “그렇기에 일부 환자들의 경우, 까다로운 수술 과정보다 단순하며 위험 부담이 적은 자궁적출을 권유 받는 현실이다.”라고 말했다.
◆삶의 질 저하 가능성
그러나 자궁은 단순히 임신과 출산을 담당하는 역할을 넘어, 골반 내 장기들을 지지하는 중요한구조물이다.
골반 내 구조 지지, 정상 성기능 유지, 호르몬 조절 등 자궁의 존재는 여성 건강에 핵심적이다.
권용일 원장은 “자궁을 적출할 경우 방광, 직장, 소장 등 복강 내 여러 조직들 사이에서 유착이 발생할 위험이 높아지며, 질 탈출증, 성관계 장애, 난소 혈류 감소에 따른 조기 폐경, 골다공증 및 갱년기 증상의 악화 등 다방면에서 삶의 질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라고 설명했다.
◆정확한 진단과 검사 필수
자궁을 보존하고 싶지만, 자궁선근증으로 인한 증상들로 고통받는 환자들 중 수술에 대한 부담이 커 치료를 망설이는 경우에는 자궁내 장치(미레나) 삽입, 경구 피임약 복용 등과 같은 호르몬 치료법, 진통제 복용, 하이푸(HIFU)와 같은 비침습적 치료법을 시도해 볼 수 있다.
권용일 원장은 “다만, 환자의 상태와 조건에 따라 가능한 치료 방법이 상이할 수 있어 반드시 전문가의 진료를 통해 정확한 진단과 검사가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이어 “수술이 필요한 경우에도 자궁적출 대신, 로봇수술, 복강경 수술 등 최소침습 수술법으로 섬세하게 병변 부위만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자궁보존 수술을 실행할 수 있다.”라며, “다만, 로봇수술, 복강경 수술 등의 수술법을 통해 자궁선근증을 보다 완벽하게 제거하는 일은 그만큼 풍부한 수술 경험을 지닌 숙련된 의료진의 집도가 필수조건으로 꼽힌다.”라고 덧붙였다.
◆환자 맞춤형 접근 중요
권용일 원장은 “자궁선근증 환자의 자궁보존 절제술은 매우 난이도가 높아 많은 병원에서 자궁적출을 권유하는 경우가 많지만, 충분한 경험과 실력을 갖춘 의료진이 집도하는 경우, 로봇수술 등으로 충분이 자궁을 보존하며 병변 부위만 제거할 수 있다.”라며, “자궁적출이 필요한 경우는 암으로 의심되는 등 특수한 경우에 한정되므로, 수술 후 경과뿐 아니라 이후 삶의 질을 고려하거나, 젊은 환자의 경우 가임 능력을 보존하고자 최대한 자궁을 보존하는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자궁선근증 치료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며, 무엇보다 경험 많은 전문가와의 체계적인 진료 상담을 통해 환자에게 가장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일 수 있는 치료법을 선택하는 것이 새로운 시대의 여성 건강 표준이라 볼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메디컬월드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