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한국 기후위기 평가보고서 2025 발간…폭염 3~9배 증가 전망 환경부·기상청, 2020~2024년 연구성과 집대성한 종합보고서 공개 2025-09-28
김나성 newsmedical@daum.net

환경부(장관 김성환)와 기상청(청장 이미선)이 우리나라 기후위기 현황을 종합 분석하고 적응 해법을 제시하는 ‘한국 기후위기 평가보고서 2025’를 공동 발간했다. 

이 보고서는 전문가 112명이 참여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발표된 국내외 논문 약 2,000편을 분석한 결과로, 한반도 온난화 심화와 극한 기상현상 증가를 과학적으로 입증했다.


◆ 한반도 온난화 가속화, 역대 최고 기온 기록 경신

보고서에 따르면 한반도 온난화가 더욱 심화되면서 극한 기상현상이 증가하고 있다. 

2024년과 2023년 한반도 연평균 기온은 각각 14.5℃, 13.7℃로 역대 1, 2위를 기록했다. 1912~2024년 기온 상승률은 0.21℃/10년으로 1912~2017년 상승률(0.18℃/10년)보다 높아져 최근 7년간(2018~2024) 온난화 추세가 강화되고 있음이 확인됐다.

2024년 국내 이산화탄소 농도는 안면도 430.7ppm, 고산 429.0ppm, 울릉도 428.0ppm으로 전 지구 평균보다 약 5.2~7.9ppm 높았다. 

한반도 농도 증가율도 3.4ppm으로 최근 10년 연평균 증가율(2.4ppm)을 크게 웃돌았다.


◆ 미래 극한 기상현상 대폭 증가 전망

21세기 말(2081~2100) 한반도 연평균 기온은 온실가스 감축 정도에 따라 2.3℃에서 최대 7.0℃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현재 연평균 8.8일 발생하는 폭염은 24.2일~79.5일로 늘어나 현재 대비 3~9배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한반도 폭염의 발생빈도와 강도는 모두 증가하고 있으며, 인위적 요인으로 인한 폭염 발생 확률이 사례에 따라 4배 이상 증가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제시됐다.

태풍의 극한강수 영역이 16~37% 확대되고, 초강력 태풍을 유지할 수 있는 고수온 발생 확률도 최소 5배 이상 증가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 사회 전 부문 기후영향 확산

기후위기로 인한 사회 전반의 영향도 심각한 수준이다. 

육상 조류 52종 중 38%의 개체수가 감소했으며, 계절과 불일치하는 철새 출현 등 생태계 변화가 관찰됐다.


▲ 건강 분야 영향 심화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자 수는 2024년 기준 2020~2023년 평균(1,709명) 대비 2배 증가했다. 

2050년대 고령자의 고온 초과사망률은 중간 단계 기후변화 시나리오에서 4.36%, 약간 높은 단계에서 5.52%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 수산업 피해 누적

우리나라 주변 해양 표층수온은 전 지구 평균 대비 2배 상승했다. 

수산업은 최근 14년간(2011~2024) 고수온으로 3,472억원, 저수온으로 308억원의 누적 피해가 발생했다. 

2100년까지 주요 양식 밀집 해역의 수온은 약 45℃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 적응대책 수립 기초자료 역할

보고서는 물관리, 생태계, 농수산, 건강, 산업 등 사회 전 부문의 기후위기 영향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한다. 

올해 하반기 수립 예정인 '제4차 국가 기후위기 대응(적응)대책(2026~2030)'을 비롯해 정부, 지자체, 공공기관 등의 대응대책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안세창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장은 “폭염, 홍수 등 이상기후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어 기후 취약계층 보호가 중요하다”며 “사회 전 부문의 기후대응 역량이 제고될 수 있도록 제4차 국가 기후위기 대응대책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김승희 기상청 차장은 “기후위기가 심화됨에 따라 각종 기후재난의 발생 양상이 복잡해졌다”며 “정교한 기후위기 감시·예측을 통해 기후위기 적응정책 수립을 위한 과학적 근거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보고서 전문은 9월 19일부터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국가기후위기적응센터 및 기상청 기후정보포털 누리집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메디컬월드뉴스]



관련기사

라이프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