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나성 newsmedical@daum.net
2024년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2,521명으로 전년(2,551명) 대비 1.2% 감소하며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경찰청(청장 직무대행 이호영)에 따르면 최다 사망자를 기록했던 1991년(1만 3,429명)과 비교해 81.2%가 감소한 수치다.
교통사고 건수도 19만 6,349건으로 전년(19만 8,296건)보다 1%(1,947건) 감소했으며, 부상자도 27만 8,482명으로 전년(28만 3,799명)보다 1.9%(5,317명) 줄었다.
◆ 분야별 교통사고 사망자 현황
음주운전으로 인한 사망자는 음주운전 방지장치 도입 등 제도개선의 영향으로 138명을 기록해 전년(159명) 대비 13.2%(21명) 감소했다. 이는 2020년(287명)과 비교해 4년 만에 절반 이하(-51.9%)로 줄어든 수치다.
반면 보행자 사망자는 920명으로 전년(886명)보다 3.8%(34명) 증가했다.
특히 65세 이상 고령 보행자 비중이 67.0%(616명)로 전년 62.1%(550명)보다 높아졌는데, 이는 인구 고령화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고령운전자에 의한 사망자도 761명으로 전년(745명)보다 2.1%(16명) 증가했다. 다만 고령 면허소지자 10만 명당 사망자 수는 14.7명으로 최근 5년간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 교통수단별·지역별 사망자 현황
고속도로 교통사고 사망자는 187명으로 전년(186명)보다 0.5%(1명) 증가한 반면, 이륜차 관련 사망자는 361명으로 전년(392명)보다 7.9%(31명) 감소했다.
화물차 관련 사망자도 594명으로 전년(595명)보다 0.2%(1명) 감소했다.
◆ 지역별 증감 현황
특별·광역시 중에서는 울산(13명, 34.2%↑), 서울(33명, 18.6%↑), 대구(10명, 13.7%↑) 순으로 증가율이 높았다.
도 단위 지역에서는 충남(31명, 15.3%↑), 제주(3명, 6.7%↑), 전북(3명, 1.8%↑) 순으로 증가했다.
반면 사망자 감소율이 가장 큰 지역은 특별·광역시 중에서는 세종(5명, 41.7%↓), 도 단위 지역에서는 강원(19명, 13.6%↓)으로 나타났다.
경찰청 생활안전교통국장(치안감 한창훈)은 “교통사고 사망자가 2024년에 전년보다 30명 줄었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며 “운전자 등 차량 탑승자의 교통사고 사망률을 낮추기 위해 안전띠·안전모 착용 문화의 정착이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보행자 사망사고를 줄이기 위한 시설개선 및 교통안전 활동을 지속하고, 어르신 대상 교통안전교육을 통해 고령자 교통사고 감소를 위해 노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메디컬월드뉴스]
- T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