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원 newsmedical@daum.net
M자 탈모는 이마 라인이 뒤로 밀리며 M자 형태로 점점 넓어지는 탈모 유형으로, 주로 유전적 요인과 호르몬 변화에 의해 발생한다.
문제는 ‘눈에 띄기 전’ 이미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압구정 모제림성형외과의원 황정욱(대한성형외과학회 회원) 대표원장은 “특히 봄철 관리 소홀은 여름철 급속한 탈모 악화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이미지 설명 : 황정욱 원장, 사진=모제림성형외과의원 제공)
◆‘봄철 방치’가 ‘여름 악화’ 불러
봄은 두피에 유해한 자극 요소가 많은 시기다.
미세먼지, 황사, 꽃가루로 인해 모공이 막히거나 염증이 생기기 쉽고, 기온 상승으로 피지 분비량도 늘어난다.
이로 인해 모근 건강이 약해진 상태에서 여름철 자외선과 고온다습한 환경이 더해지면 탈모가 급격히 심화될 수 있다.
또한 이 시기는 면역력 저하와 스트레스로 인해 두피의 방어력이 떨어지기 쉬운 계절이다.
황정욱 원장은 “봄은 모발이 자연스럽게 ‘휴지기’에 접어드는 시기로, 두피와 모발에 영양과 청결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으면 여름철에 급격한 모발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여름을 준비하는 ‘지금’, 관리의 골든타임
모발이식 전문 의료진들은 탈모 치료에 있어 ‘타이밍’을 가장 중요하게 꼽는다.
특히 M자 부위는 모발 밀도가 낮아지기 시작하면 외형 변화가 눈에 띄기 때문에, 초기 대응이 미적 고민 이상의 차이를 만들어낸다.
황정욱 원장은 “M자 탈모는 단순히 이마가 넓어지는 문제가 아니라, 이마 라인의 균형이 무너지며 얼굴형까지 영향을 주는 구조적 탈모다. 이 시기 두피 자극을 줄이고 전문적인 방법으로 대응하면 충분히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다.”라고 밝혔다.
◆전문의가 전하는 현실적 관리 전략은?
현재 진행이 경미한 경우라면 약물치료나 두피 관리로도 충분히 회복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마 라인의 후퇴가 뚜렷하거나, 헤어라인이 불균형해 보이는 경우라면 모발이식이 현실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모발이식은 단순히 ‘모발을 심는’ 수술이 아니라, 두피 상태, 모낭 생존율, 디자인 완성도, 사후 관리까지 고려해야 하는 고난도 시술이다.
따라서 병원의 진료 시스템과 의료진의 숙련도를 꼼꼼히 비교하고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황정욱 원장은 “M자 탈모는 남성들에게 흔한 고민이지만, 시기와 방법에 따라 충분히 조절 가능한 질환이다. 특히 봄철은 탈모의 ‘시작’을 감지하고 대응할 수 있는 시기이자, 여름철 급격한 악화를 막을 수 있는 골든타임이다. 지금의 관심과 관리가, 여름철의 자신감을 결정짓는다.”라고 강조했다.
[메디컬월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