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원 newsmedical@daum.net
목 부위에서 통증이나 압박감 등의 불편함이 지속된다면, 대부분 목디스크를 의심한다.
김포 연세더바른병원 오규성(대한신경외과학회 정회원) 원장은 “하지만 다른 질환이 원인일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대표적인 질환에는 후종인대 골화증이 있다.”라고 설명했다.
◆후종인대 골화증이란?
인대는 뼈와 뼈 사이의 움직임을 유지하면서 어긋나지 않게 지지해 주는 부위다.
후종인대는 척추의 정렬 및 안정화, 운동성을 유지하기 위해 존재하는 종인대로, 척추체의 뒤쪽을 지지한다.
오규성 원장은 “후종인대 골화증은 이 후종인대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비정상적으로 딱딱하게 굳어지는 골화를 일으켜, 척추관을 지나는 신경을 압박하여 신경 이상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이다.”라고 밝혔다.
◆동양인 발생 비율 높아
발병 원인이 명확하진 않지만, 주로 동양인의 발생 비율이 높다.
또한, 가족 간의 발병률이 일반보다 높은 것으로 보아, 인종적, 유전적 요소가 많이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외에도 외상, 당뇨, 비만, 면역 질환, 미만성 골과다증 등과도 관련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오규성 원장은 “대부분 목 부분인 경추에서 잘 발생하며, 드물지만 가슴 쪽 흉추에서도 발생하는 사례가 있다.”라고 말했다.
◆후종인대 골화증 초기 증상
후종인대 골화증 초기에는 목 부위의 통증과 위화감, 압박감 등의 증세를 호소한다.
이후 서서히 진행됨에 따라 후종인대가 딱딱해지고 점점 커지면서 신경을 압박하여, 팔이나 손 저림, 통증, 감각 저하, 근력 저하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
오규성 원장은 “점차 다리의 근력 저하 및 감각 이상, 보행 장애, 배뇨 및 배변 장애를 유발하며, 더 악화하면 팔다리의 마비를 유발할 수도 있다. 이에 초기 치료가 중요하다.”라고 설명했다.
◆후종인대 골화증 진단
후종인대 골화증은 골화성 병변이므로, MRI보다는 단순 방사선 검사(X-ray)와 척추 전산화 단층 촬영(CT)이 진단에 용이하다.
오규성 원장은 “X-ray 검사를 통해 후종인대의 골화를 관찰하고, CT를 통해 골화의 상태, 크기, 척수 압박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아울러 신경 손상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근전도 검사, 유발 전위 검사, 방광 기능 검사 등을 시행할 수 있다.”라고 밝혔다.
◆후종인대 골화증 치료
치료는 증상이 경미하다면, 보존 치료를 선행한다.
오규성 원장은 “안정 및 운동 제한을 비롯해 소염진통제, 스테로이드 등의 약물치료를 병행하고, 그 외에 보조기 착용이나 열 치료, 초단파 치료와 같은 물리치료를 진행한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후종인대 골화증의 증상이 나타나 진단을 받게 되는 경우는 대부분 어느 정도 척수 신경의 압박이 진행된 시기이므로, 보존 치료에 반응을 보이지 않을 때가 더 많다.
이처럼 척수병증이 확인되었거나 증상이 심하지 않더라도 협착이 심한 경우에는 후궁 확장 성형술 등의 수술을 진행할 수 있다.
오규성 원장은 “후종인대 골화증은 진행될수록 증상이 심해지므로, 초기 진단 및 치료가 중요하다.”며, “목 부위에 불편함이 느껴지거나 팔 저림 등의 이상 증상이 나타난다면, 조속히 병원에 내원하여 진단을 받은 후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후종인대 골화증 수술의 경우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파악하여 담당의의 소견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숙련된 전문의에게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며, “대개 척수증의 정도, 척추 분절의 침범 정도를 파악하여 수술 방법을 결정한다.”라고 덧붙였다.
[메디컬월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