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많이 걷고, 학교 체육활동 적극 참여시 정신건강, 비만 등 건강지표 긍정적 영향 10년간 청소년 신체활동 증가…여전히 부족 2025-03-27
임재관 newsmedical@daum.net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이 청소년건강행태조사 결과를 활용해 ‘청소년 신체활동 추이와 관련 요인’을 주제로 2025년 ‘국민건강통계플러스’ 첫 요약통계를 발간했다.


◆ 신체활동 실천율 증가 추세…국제 비교 시 여전히 낮은 수준

청소년건강행태조사는 매년 유산소 신체활동, 근력강화운동, 앉아서 보낸 시간 등을 조사하여 신체활동 현황을 파악한다. 


최근 10년간(2015~2024년) 신체활동 실천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높았다. 


특히 중학교 남학생의 신체활동 실천율 증가 폭이 큰 반면, 고등학교 여학생은 뚜렷한 변화 없이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다.


국외 청소년과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 청소년의 신체활동 실천율은 146개 국가 중 가장 낮았고(WHO, 2016년 기준), 고등학생의 신체활동 실천율은 미국에 비해 약 30%p(YRBS, 2023년 기준) 낮은 수준이었다.

◆ 신체활동 참여도와 건강행태 간 유의미한 연관성 확인

2022년 신체활동 심층조사 결과, 매일 10분 이상 걷기를 실천하는 청소년은 남학생 59.8%, 여학생 55.2%였고, 주 1회 이상 학교 체육수업 시간에 직접 운동을 한 경우는 남학생 82.3%, 여학생 79.3%였다.


일상생활에서 신체활동과 학교에서의 체육활동 참여 정도에 따라 참여군과 미참여 군으로 구분 시, 걷거나 체육활동 등에 적극 참여한 학생은 미참여 군에 비해 아침식사 결식, 스트레스 인지 등이 낮아 건강행태가 더 양호하였고, 비만율도 참여군 10.3%, 미참여 군 11.8%로 참여군에서 더 낮았다.

◆ 신체활동 실천 관련 주요 요인 분석

하루 60분 주 5일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 관련 요인은 성별, 걷기 실천, 등하교/등하원 시 신체활동, 학교에서 체육‧스포츠 활동팀 참여, 주중 학습 목적 이외 좌식 활동 시간 등이었다.

특히, 일상생활에서 매일 10분 이상 걷기를 실천한 학생은 주 5일 미만에 비해 신체활동 실천율이 약 3배 높았다. 


학교에서 체육수업 시간 직접 운동 참여 횟수(주 3회 이상), 스포츠 활동팀 참여 개수(2개 이상)가 많은 학생은 참여하지 않은 학생에 비해 실천율이 약 2.5배 더 높았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최근 10년간 청소년의 신체활동 실천율 증가는 긍정적인 변화이지만 여전히 개선이 필요한 수준”이라며, “일상생활에서 신체활동과 학교에서의 체육활동의 적극적 참여는 정신건강, 비만 등 건강지표에도 바람직한 영향을 미치므로, 청소년의 신체활동 증가를 위해 학교‧가정·지역사회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학교 체육활동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체육‧스포츠 활동 관련 문항을 3년 주기에서 매년 조사로 변경하고, 2025년에 실시하는 신체활동 심층조사 결과를 상세 분석하여 ‘청소년건강행태조사 결과발표회’를 통해 공유하는 등 청소년 건강정책 근거 생산 강화 및 관련 부처와 적극 협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국민건강통계플러스’ 및 국가건강조사 관련 보고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누리집에서 내려받아 활용 가능하다.

[메디컬월드뉴스]



관련기사
TAG

라이프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