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원 newsmedical@daum.net
노화로 인해 신체 곳곳이 퇴행하며 발생하는 다양한 질환 중 대표적인 척추 관련 질환이 바로 ‘퇴행성 척추관 협착증’이다.
김포 연세더바른병원 오규성(대한신경외과학회 정회원) 원장은 “척추관은 척추에 터널처럼 나 있는 파이프 구조로, 신경이 지나가는 터널이기 때문에 이 관이 눌리게 되면 여러 신경학적 통증이 나타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척추관 협착증과 허리디스크
척추관을 지나는 신경은 뇌에서 시작해 목뼈와 등뼈인 경추 및 흉추, 허리, 하지까지 이어진다.
척추관 협착증은 이 신경들이 지나가는 공간이 좁아져서 신경을 눌러 허리부터 다리까지 이상 증상을 일으킨다.
대표적인 통증 부위는 허리인데, 허리 통증 질환인 허리디스크와 종종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
오규성 원장은 “허리디스크는 디스크 물질이 신경을 눌러 통증을 유발한다면, 척추관 협착증은 인대, 뼈, 관절 등이 비대해지거나 자라 나와서 척추관을 좁혀 신경을 누름으로써 통증을 유발하는 것이 차이점이다.”라고 설명했다.
◆척추관 협착증 원인
척추관 협착증의 원인은 선천성, 발육성 협착증과 후천성, 퇴행성 협착증으로 구분된다.
▲선천성
선천성으로는 태어날 때부터 척추관이 좁은 사람들이다.
오규성 원장은 “평소에는 별 증상이 없다가 작은 변화에 심한 통증을 호소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후천성
후천성은 대부분의 척추관 협착증 환자들이 속한 것이다.
오규성 원장은 “나이가 들면서 관절이나 인대가 비대해지고 불필요한 뼈가 자라 나와 척추관을 눌러 발생한다.”라고 밝혔다.
◆척추관 협착증 증상 및 진단
▲증상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신경인성 간헐적 파행에 따른 보행 장애, 다리 저림, 넓은 범위의 감각 소실과 저림, 감각 이상 증상 등이 있다.
▲진단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환자 증상을 토대로 한 여러 가지 신경학적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먼저 신경인성 간헐적 파행을 확인하는 진찰을 하는데, 이를 통해 질환이 의심되면 X-ray 촬영을 통해 척추의 불안정성, 관절염, 변형 등을 확인한다.
오규성 원장은 “X-ray 검사만으로 신경이 얼마나 눌리는지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려워 CT 또는 MRI와 같은 정밀 검사를 진행하여 최종 진단한다.”라고 설명했다.
◆퇴행성 척추관 협착증
퇴행성 척추관 협착증은 급성으로 증상이 나타나거나, 급격히 증상이 악화하거나 기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드물어 반드시 수술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일상을 방해하는 통증이 있다면 가급적 이른 시일 내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규성 원장은 “치료는 주로 운동 치료, 물리치료, 보조기 착용, 약물치료, 주사치료 등 보존 치료를 선행한다. 만약 이러한 보존 치료로도 통증 완화가 되지 않거나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로 통증이 심한 경우, 보행 장애가 있거나 마비, 대소변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는 시술이나 수술을 진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치료 방법으로는 경피적 경막외 신경 성형술, 척추관을 넓혀 신경 압박을 해소하는 신경 감압술, 감압술에 따라 불안정해진 척추를 금속 내고정술이나 골이식으로 척추를 안정화시키는 척추 유합술,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 등을 진행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메디컬월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