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첨단소재 연구개발 발전전략’ 중점 추진 사항은? 2024-12-30
임재관 newsmedical@daum.net

최근 조사 결과에 따르면, 첨단소재의 기술 수준이 미국, 일본에 이어, 중국도 우리를 추월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첨단소재의 기술력 저하는 장기적으로 우리나라 핵심 공급망의 위협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는바, 세계 공급망 위험에 선제 대응하기 위한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가 제시하는 ‘첨단소재 연구개발 발전전략’ 중점 추진 사항은 다음과 같다.


◆이원화 연구개발 체계 강화

세계 공급망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100대 첨단소재(5년 내외), ▲100대 미래소재(10년 이상)로 구분하는 이원화(Two-Track) 연구개발 체계로 강화한다.


우선, 특정 국가에 높은 대외 의존도 등으로 공급망 위험이 높은 ‘100대 첨단소재’를 발굴하고 향후 5년 내외로 조속한 원천기술을 확보하여 사업화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높여나간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10년 이상의 중장기 미래의 기술 혁신에도 선제적으로 대비하여 국가전략기술 분야 중심으로 ‘100대 미래소재’에 대한 연구개발을 차질없이 지원하여 향후 10년 이후의 초격차 원천기술 확보도 병행해 나간다. 

◆‘첨단소재 기술 성장지원 체계’ 새롭게 구축

첨단소재 원천기술 성과가 다양한 분야로 활용․확산될 수 있도록‘첨단소재 기술 성장지원 체계’도 새롭게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출연연’을 중심으로 ‘소재 분야 연구자’, ‘수요․공급기업’이 함께 참여하는 ‘(가칭)첨단소재 기술 성장 협의체’를 구성하여 우리나라 소재 원천기술의 현안 대응력을 높인다. 


첨단소재 원천기술의 성장을 저해하는 기술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원천기술 연계(매칭)․고도화, 규모 확대(스케일업) 기술난제 해결 등을 지원하는 ‘첨단소재 원천기술 성장 연구개발 프로그램’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특히, 원천기술의 사업화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연구 기획 단계에서 기업의 참여를 높이고, 연구개발 단계에서는 지재권 확보 지원, 부처간 이어달리기 협력사업 등 소재 연구의 연구개발 과정도 개선해 나간다. 


◆첨단 연구 위한 소재 기술 혁신 생태계 조성

첨단 연구를 위한 소재 기술 혁신 생태계도 조성해 나간다.


최근 새롭게 부상한 인공지능 활용 연구를 소재 연구에 도입하기 위한 ‘소재 연구 인공지능․데이터 생태계 온라인 체제 기반(플랫폼)’의 기능을 보다 확대하고, 소재 전문가, 인공지능 전문가 등이 공동으로 연구하는 소재 연구 HUB 사업을 지속 추진한다.


이외에도 디지털 연구 방법론에 특화된 소재 연구 인력양성은 물론, 기업 현장의 신진 연구인력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젊은 과학자가 세계적 연구자와 협력하는 기회도 확대하는 사업(국제 젋은 과학자 연결<글로벌 영커넥트>)을 추진한다. 


유상임 장관은 “과학기술을 둘러싼 국가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시점에서 첨단소재 분야는 반도체, 이차전지 등 주요 전략기술분야의 기술력을 좌우하는 핵심 동력원이다.”라며, “이번 전략을 토대로 과학기술 관점에서 국제 공급망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현재와 미래를 고려한 소재 원천기술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메디컬월드뉴스]



관련기사
TAG

라이프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