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 사이 ‘성조숙증’ 아이들 2.6배 증가…대부분 여아, 남아 증가 중
성조숙증 원인…서구화한 식습관, 소아 비만, 환경 호르몬 등
2024-10-21
임재관 newsmedical@daum.net
임재관 newsmedical@daum.net
최근 10년 사이 ‘성조숙증’ 아이들이 2.6배 급증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박희승(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성조숙증 환자는 2014년 9만 6,733명에서 지난해 25만 1,599명으로 160% 급증했다.
올해도 7월까지 19만 4,803명이 성조숙증을 진단받았다.
성별로 나눠 보면 성조숙증을 겪는 아이들 대부분이 여아였다.
다만 성조숙증 환자 중 여아 비중은 2014년 91.9%에서 지난해 80.7%로 감소했다.
반면 남아들 사이에서 성조숙증이 증가했다.
박희승 의원은 “성숙이 지나치게 빨라지면 성장호르몬 불균형으로 성장판이 조기에 닫힐 우려가 있고, 아이들에게 스트레스가 될 수 있다.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 각종 질환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사회적 관심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성조숙증은 이차 성징이 이르게 나타나는 질환이다.
여자아이가 8세 이전에 가슴이 발달하고 남자아이가 9세 이전에 고환이 커지거나 음모가 발달하면 성조숙증을 의심할 수 있다.
성조숙증의 원인으로는 서구화한 식습관, 소아 비만, 환경 호르몬 등이 꼽힌다.
[메디컬월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