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올해 온열질환자 3,019명 발생(추정 사망자 28명 포함)…폭염대비 예방수칙 준수 필요 열사병, 열탈진 등 온열질환 지속적인 주의 필요 2024-08-23
임재관 newsmedical@daum.net

올해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운영 결과(5.20.~8.21.), 추정 사망자 28명을 포함한 총 3,019명의 온열질환자가 신고됐다.


이는 역대 온열질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했던 2018년(4,526명) 이후 가장 높은 수치이다.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폭염과 열대야는 당분간 지속된다는 기상청 날씨 전망에 따라, 열사병, 열탈진 등 온열질환에 대한 지속적인 주의를 당부했다.

◆절반이상 12시~18시 발생, 65세 이상 노년층 다발 

현재(5.20.~8.21.)까지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로 신고된 온열질환자는 65세 이상이 31.4%를 차지했고, 남성(77.6%)이 여성보다 많이 발생했다. 


온열질환은 야외작업장(31.3%)과 논밭(14.6%) 등 주로 실외에서 많이 발생(78.0%)했다.


연령대별로는 65세 이상 노년층이 전체 환자의 31.4%[50대 558명(18.5%), 60대 557명(18.5%)]를 차지했으며, 질환은 열탈진(55.6%)과 열사병(20.7%)으로 나타났다.


시간별로는 12시~18시의 발생이 56.2%로 절반이 넘었다. 

6시~12시에는 26.9%, 18시~익일 6시에 16.9%가 발생한 것으로 신고되고 있어, 낮 시간대뿐만 아니라 밤 시간대에도 온열질환에 주의해야 한다.


7월 27일 장마가 끝난 이후 주당 600명 내외의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기상청은 9월 첫날까지 낮 기온 31~34도로 열대야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지속적인 폭염 대비 건강관리가 필요하다. 


◆폭염대비 건강수칙

폭염으로 인한 건강 피해는 작은 실천으로도 예방할 수 있으므로 물 자주 마시기(물), 시원하게 지내기(그늘), 더운 시간대에는 활동 자제하기(휴식) 등 건강 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폭염 주의보·경보가 발령되면 더운 시간대 활동을 줄이고, 불가피한 경우에는 챙 넓은 모자, 밝고 헐렁한 옷 등을 착용하면 온열질환 예방에 도움이 된다.


◆온열질환자 발생시 응급조치

우선 온열질환자가 발생하면 즉시 환자를 시원한 장소로 옮기고, 물수건‧물‧얼음 등으로 몸을 닦거나 부채 및 선풍기 등으로 체온을 내리며,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한다.


특히 의식이 없는 경우에는 신속히 119에 신고하여 병원으로 이송해야 하며, 질식 위험이 있으므로 음료수를 억지로 먹이지 않도록 한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건강 수칙을 잘 지키는 것만으로도 온열질환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물을 자주 마시고, 더운 시간대 활동 자제하기 등 건강 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폭염과 열대야가 지속됨에 따라 낮 시간대뿐만 아니라 밤 시간대에도 충분한 물 섭취와 시원한 환경 유지 등 건강에 유의해 줄 것을 당부한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질병관리청은 2011년부터 매년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현재 전국 507개 응급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폭염으로 인한 건강피해 발생을 감시하고 주요 발생 특성 정보를 일별로 제공해오고 있다. 

[메디컬월드뉴스]

관련기사
TAG

라이프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