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갑상선 수술 후 0.4%의 우수한 성대마비 발생률 성적 발표 보라매병원 채영준 교수팀 2024-06-19
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신경감시술을 받지 않은 환자군과 신경감시술을 받은 환자군 간의 성대 마비(VCP) 비율을 비교하고, 시간 경과에 따른 성대 마비의 위험 요소를 분석한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병원장 이재협) 갑상선센터 채영준 교수팀은 2014년 3월부터 2022년 6월까지 이 병원에서 갑상선암으로 갑상선절제술을 받은 환자 712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 분석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신경감시술을 받지 않은 환자군(151명)과 신경감시술을 받은 환자군(561명)으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했다. 


일시적 및 영구 성대 마비의 비율은 신경감시술을 받지 않은 환자군과 신경감시술을 받은 환자군 간에 크게 다르지 않았으며. 분석 결과 보라매병원의 영구적인 성대마비 발생 환자가 3명(0.42%)에 불과했다. 


성대 마비 합병증 발생 비율은 누적 사례 수가 증가함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p=0.017). 


즉, 성대 마비 비율의 감소 추세는 외과의사의 경험이 성대 마비 위험을 완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해당 논문의 교신저자인 외과 채영준 교수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갑상선 수술을 위해서는 신경감시술과 함께 수술량 증가 및 외과팀의 경험이 뒷받침되어야 하며, 앞으로도 갑상선센터 내분비외과, 마취과와 협업을 통해 환자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일본 외과학회 공식학회지인 ‘Surgery Today’ 2024년 최근호에 ‘Intraoperative neuromonitoring during thyroidectomy does not decrease vocal cord palsy risk, but the cumulative experience of the surgeon may‘라는 내용으로 게재됐다.


한편 채영준 교수팀은 마취과 이정만 교수팀과의 협업을 통해 절개 갑상선수술, 경구강 갑상선 수술, 로봇 갑상선 수술에서 신경손상을 최소화하는 연구를 지속해오고 있다. 


특히 수술 중 신경감시술의 도입, 신경감시술의 최적 마취 상태 규명, 신경감시술의 최신 기법 개발 등의 성과는 다양한 해외 유수 학술지에 게재됐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TAG

라이프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