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원 newsmedical@daum.net
척추는 인체의 가장 중심이 되는 뼈다.
체중을 하지로 전달해 분산하며 신체의 균형과 중심을 잡아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경추부, 흉추부, 요추부, 천추부와 미골로 나뉜다.
김포 연세더바른병원 황의승(대한신경외과학회 정회원) 원장은 “척추 뼈는 크고 두꺼우며 길이도 길기 때문에 쉽게 골절되는 곳은 아니지만 고령층, 골다공증 환자, 외부의 큰 충격 시에는 골절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주의가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척추 압박 골절
척추압박골절은 골다공증으로 뼈가 약해진 상태이거나 낙상과 같은 외부 충격을 받은 고령층에게 빈번하게 나타나는 골절 증상이다.
이는 고령층이나 골다공증 환자가 아니라고 하더라도 교통사고, 낙상 등의 충격 시 연령을 불문하고 발생할 수 있다.
황의승 원장은 “척추 압박 골절은 주로 척추의 가장 긴 구간을 차지하는 흉추와 요추부에서 잘 발생하는 편이다. 다만 정밀 검사를 하지 않으면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당장 증상이 심하지 않더라도 강한 외상 후에는 통증 여부와 관계없이 척추 부위 손상을 확인하는 검사를 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척추나 신경근 손상 시
만약 척추 압박 골절로 인해 척추나 신경근이 손상된 경우라면 하지 통증 또는 마비가 올 수 있다.
손상 즉시 증상이 없어도 통증과 마비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빠른 검사가 필요하다.
주된 증상은 골절 위치에 따라서 허리에는 심한 통증을 동반할 수도 있고, 가만히 있다가 움직일 때 통증이 심화하기도 한다.
황의승 원장은 “압박 골절을 적절하게 치료하지 않는 경우, 여러 척추에서 다발적으로 압박 골절이 발생한 경우에는 허리가 뒤로 굽는 후만증이 발생할 수도 있다.”라고 말했다.
◆척추 압박 골절 대표적 원인
척추 압박 골절의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심한 골다공증을 들 수 있다.
뼈의 밀도가 낮아 외부의 충격에 약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황의승 원장은 “심한 이들은 주저앉거나, 재채기하는 것만으로도 골절이 발생하기도 해 주의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문진과 신체 검진+영상 검사
검사는 환자의 증상, 병력을 토대로 문진과 신체 검진을 진행한다.
이후에 다양한 영상 검사를 통해 확진할 수 있다.
황의승 원장은 “먼저 척추 손상 진단의 기초가 되는 X-ray 검사로 척추 손상을 확인하는데, 이것만으로 완전한 손상을 파악하는 데에 한계가 있어 CT, MRI 등 추가 검사가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CT 검사는 골절의 형태 파악, 골편의 전위를 알기 위해 필수적이므로 척추 골절 시 반드시 시행해야 한다.
MRI 검사는 인대 등 연부 조직을 관찰하고 신경 손상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예후 판정에 도움이 된다.
◆치료법 결정
검사를 통해 진단을 받았다면 골절의 형태와 골절 부위, 환자의 나이, 동반 손상 여부에 따라 치료법이 결정된다.
황의승 원장은 “신경 손상이 없고 비교적 안정적인 골절은 보존적 치료를 진행하고, 신경 손상이 있고 불안정한 골절은 수술적 치료를 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보존적 치료는 일단 침상 안정이 필요하고, 병변 부위를 정복한 후 보조기를 착용한다.
시술이나 수술적 치료로는 손상된 척추뼈의 안정성을 높여주고 통증을 경감시켜 주는 척추 성형술이 있다.
이 외에 금속핀을 이용해 골절된 척추 정렬을 올바르게 고정해 신경 기능 회복을 유도하는 척추체 유합술이 있다.
황의승 원장은 “척추는 인체의 기둥인 만큼 손상 시 몸 자체가 무너질 수 있으므로 통증이 있을 경우 주의해야 하며, 척추 압박 골절이 의심되는 경우라면 반드시 검사를 받고 증상에 맞는 치료를 진행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메디컬월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