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나성 newsmedical@daum.net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가 ‘AI시대의 新산업정책’ 6대 분야의 첫째 과제인 ‘AI 자율제조 전략 1.0’을 발표했다.
AI 자율제조란 ‘AI를 기반으로 로봇·장비 등을 제조 공정에 결합시켜 생산의 고도화와 자율화를 구현하는 미래 제조환경’을 말하며, 인구구조 변화, 탄소중립, 생산성 저하 등 제조업을 둘러싼 난제들을 해결할 핵심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산업부의 AI 자율제조 전략 1.0은 ▲AI 자율제조 도입 확산, ▲AI 자율제조 핵심역량 확보, ▲생태계 진흥의 3개 전략을 축으로 올해에만 1,000억원 이상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
산업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2030년 AI 자율제조확산률을 30%이상(현재 9% 수준), 제조 생산성을 20%이상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AI 자율제조 얼라이언스’ 상반기 중 구성·운영
‘AI 자율제조 전략 1.0’의 민·관·연 공동 추진 기구로 ‘AI 자율제조 얼라이언스’ 를 상반기 중 구성·운영한다.
정부, 연구소, 협·단체. 업종별 주요 기업들이 참여해, AI 자율제조의 확산, 연구개발(R&D) 등 협력사업, 산업 데이터 공유·활용, 법·제도 개선 등 AI 자율제조 관련 실질적인 컨트롤 타워 역할을 수행하며, 각 부처와의 협업도 강화할 예정이다.
◆‘200대 AI 자율제조 선도 프로젝트’ 단계별로 추진
산업부는 ‘200대 AI 자율제조 선도 프로젝트’를 단계별로 추진한다.
현재 우리 제조업의 지능화 수준은 대부분(76%) 기초 단계에 머물러 있어, 이번 선도 프로젝트를 통해 제조 현장의 디지털 전환 수준을 고도화 단계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산업부는 상세 공정분석을 통해 AI 적용 가능성과 효과성 등을 면밀히 검토한 후 해당 프로젝트에 소프트웨어(SW)·로봇·시스템 구축 등을 지원한다.
올해는 지자체 공모를 통해 10개 사업을 우선 선정하여 올해 중 100억원의 예산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사업 선정시 지역 특화산업 등 지자체 수요도 적극 반영할 예정이다.
향후 2028년까지 지원대상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며, 선도 프로젝트에서 축적한 데이터와 기술들이 집약된 ‘업종별 첨단 AI 자율제조 공장 모델’도 구축 검토 중이다.
◆AI 자율제조 테스트베드 구축
기업들이 AI 자율제조 시스템 구축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로봇, SW 등의 AI 자율제조 테스트베드도 구축한다.
특히 AI 결합을 통해 생산 고도화의 핵심 역할을 하는 로봇 분야는 올해부터 2028년까지 국가 로봇 테스트필드 사업을 신규로 시작해 2,000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며, 업종별 특성을 반영한 자율제조 테스트베드 구축도 검토 중이다.
◆민간 투자 적극 유치…5년간 1조원 이상 투자
업종별 AI 자율제조에 필요한 핵심 역량 확보를 위해 민간 투자를 적극 유치하여 5년간 1조원 이상을 투자한다.
정부와 민간의 연구개발(R&D) 자금은 기계·로봇, 조선, 이차전지, 반도체 등 주력 제조업의 공정 자동화, 디지털 트윈 등 가상제조, 유연 생산 등에 집중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업종별 특화기술外에도 AI 자율제조의 3대 공통 핵심기술인 ‘산업 AI, 장비·로봇, 통합솔루션 개발’을 위해 올해말까지 기술 로드맵을 마련하고 3,000억원 규모의 예타를 기획하여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AI 자율제조 친화형 산업 생태계 조성 적극 지원
AI 자율제조 친화형 산업 생태계 조성도 적극 지원하여, 약 1만 3,000명의 전문인력과 250개 이상의 전문기업(AI 자율제조 솔루션 등 제공하는 기업)을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AI 자율제조 확산의 걸림돌이 될 법·제도를 개선하기 위한 작업반도 상반기중 출범하며, 프라운호퍼 등 선진 연구기관과 국내 연구단체·학계 간 업무협약(MOU)도 체결해 공동 연구개발, 표준마련, 실증 등 협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안덕근 장관은 “저출산에 따른 인력 부족, 생산성 정체, 경쟁국의 추격과 글로벌 공급과잉 등 다양한 위기 요인에 직면한 우리 산업에 AI를 통한 혁신이 필수적이다.”라며, “이번에 발표한 AI 자율제조 전략을 꼼꼼하고 강력하게 추진해 우리 제조업의 혁신은 물론 대한민국 산업의 대전환을 선도하겠다.”라고 밝혔다.
한국공학한림원 김기남 회장은 “향후 AI가 우리의 삶을 한 차원 발전시킬 것으로 기대됨에 따라, AI 시대에 최적화된 산업정책을 마련하여 글로벌 주도권을 확보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산업부는 지난 5월 8일 안덕근 산업부 장관, 김기남 공학한림원 회장 및 국내 기업‧학계‧관계기관 AI 분야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AI 시대의 新산업정책’ 위원회 출범식을 가졌다.
‘AI 시대의 新산업정책’작업 계획은 (메디컬월드뉴스 자료실)을 참고하면 된다.
[메디컬월드뉴스]
- T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