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연구개발특구법 시행령’ 개정안 공포…주요 내용은? 2024-05-30
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연구개발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이하 연구개발특구법) 시행령’ 개정안이 지난 5월 14일 공포돼 8월 15일(목)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이번 시행령 개정은 급변하는 연구개발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국무조정실 규제혁신추진단과 함께 추진해 온 연구개발특구(이하 ‘특구’) 교육, 연구 및 사업화시설 구역 내 국토계획법 특례(건폐율, 용적률)의 완화범위를 상향하고, 경미한 특구변경에 의한 특구변경 절차 간소화하는 한편 특구 내 허용건축물의 범위 확대 등을 포함하고 있다.


‘연구개발특구법’ 시행령 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건폐율 또는 용적률 완화범위 상향 외 

특구 내 연구, 교육 및 사업화시설 구역의 ‘국토계획법’ 제77조 또는 제78조에 따른 건폐율 또는 용적률 완화범위를 기존 150%에서 200%로 상향한다. 


교육, 연구 및 사업화시설 구역은 대학, 출연연, 연구소 등이 집중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구역 내 토지의 대부분이 이미 개발되어 신규 개발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입주 기업, 연구기관 등에서 건축밀도 상향에 대한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제기한 바 있다. 

이번 건폐율, 용적률 상향으로 특구 내 연구기관, 창업 및 중소 기업은 고밀도 건축 또는 증축을 통해 원활한 연구 및 기업 활동공간 확보가 가능하게 됐다. 


향후 연구개발특구법 제44조 개정을 통해 건폐율, 용적률 상향으로 안전, 주거환경 등에 미치는 영향을 도시계획위원회를 통해 심의할 수 있도록 규정 추가가 예정되어 있다. 


경미한 특구변경에 의한 특구변경 절차 간소화

특구개발사업 면적의 10퍼센트 미만을 변경하는 등 특구개발계획의 경미한 사항을 변경함에 따라 특구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의 협의 및 연구개발특구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치지 않고 특구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특구 내 교육, 연구, 산업 등 용도구역별 허용건축물 범위 확대

특구 내 연구기관·기업 종사자 등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교육, 연구 및 사업화시설 구역에서 건축이 허용되는 건축물의 종류에 금융업소, 전기자동차 충전소 및 테니스장 등 체육시설을 추가하고, 산업육성 구역에서 건축이 허용되는 건축물의 종류에 데이터센터를 추가한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TAG

라이프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