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원 newsmedical@daum.net
목이나 허리는 조금만 무리를 하거나 자세를 잘못할 경우 종종 통증이 생길 수 있다.
김포 연세더바른병원 황의승(대한신경외과학회 정회원) 원장은 “이러한 통증을 일시적인 증상이라고 생각해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이들이 많은데, 원인을 모를 통증이 오랜 시간 계속 지속이 된다면 해당 부위에 문제가 있는 질환일 수 있다.”라고 밝혔다.
◆후종인대 골화증이란?
다양한 척추 관련 질환 중 환자들에게 다소 이름이 생소한 ‘후종인대 골화증’이라는 것이 있다.
인대는 뼈와 뼈 사이의 움직임을 유지하고 어긋나지 않도록 지지해 주는 곳인데, 그중 척추 정렬과 안정화 및 운동성을 유지해 주는 종인대라는 곳이 있다.
종인대는 척추의 뒤쪽을 지지하는 후종인대, 앞쪽을 지지하는 전종인대로 나뉜다.
이 중 후종인대가 여러 원인에 의해 뼈처럼 단단하게 굳어지는 골화를 일으키는 것을 ‘후종인대 골화증’이라고 한다.
후종인대 골화증은 후종인대가 척추관을 지나는 신경을 압박해 신경 이상 증상을 유발한다.
황의승 원장은 “원인은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며, 동양인들 사이에서의 발생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다. 유전적인 요소가 작용한다고 보고 있으며, 그 외에 외상, 당뇨, 비만, 면역 질환, 미만성 골과다증 등과도 관련돼 있다고 확인된다.”라고 설명했다.
◆후종인대 골화증 증상
증상은 주로 목 부분인 경추에서 잘 발생하며, 드물게는 가슴 쪽 흉추에서도 발생하는 사례가 있다고 알려진다.
주로 목 부위의 통증과 위화감, 압박감 등의 증상을 특징으로 하며, 이후에 서서히 진행되면서 후종인대가 딱딱해지고 굳어지며 두꺼워져 신경을 압박한다.
이에 따라 팔과 손 저림, 통증, 감각 저하, 근력 저하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
상체뿐만 아니라 하체에도 증상이 이어질 수 있다.
황의승 원장은 “다리의 근력 저하와 감각 이상, 보행 장애, 배뇨 및 배변 장애를 유발할 수도 있고 증상이 더 악화되면 팔다리의 마비가 일어날 수 있다.”라고 말했다.
◆후종인대 골화증 초기 접근 중요
후종인대 골화증 초기에는 비수술적인 치료로 증상 완화가 가능하다.
경미한 경우에는 초기에 보존적인 치료로 안정 및 운동 제한을 비롯해 소염제, 진통제, 스테로이드 등의 약물 치료를 병행한다.
보조기 착용과 열 치료, 초단파 치료 등의 물리치료도 도움이 된다.
하지만 보편적으로 증상이 나타나 진단을 받게 된 경우에는 이미 척수 신경의 압박이 진행되고 있는 경우가 많아, 보존적 치료에 반응을 보이지 않기도 한다.
황의승 원장은 “이처럼 척수병증이 확인됐거나 증상이 심하지 않더라도 협착이 심하다면 수술을 해야 한다. 수술은 환자의 상태를 면밀하게 파악하고, 전문의가 진단하고 그 소견에 따라 결정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척수증의 정도, 척추 분절의 침범 정도를 파악해 수술 방법을 결정하는데 후방 감압술, 후궁 절제술, 척추후궁 성형술 등을 시행할 수 있다.
황의승 원장은 “후종인대 골화증은 단순한 근육통이나 목디스크와 증상이 다르지만, 이를 혼동하는 환자들이 많다. 이유를 알 수 없는 지속적인 통증과 불편함이 이어진다면 정확한 진단을 통해 조기에 치료하고 지속적인 관리를 하는 것이 좋다.”라고 설명했다.
[메디컬월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