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특허청, 건강식품 분야 지식재산권 허위표시 22개 제품, 503건 적발 소멸한 지식재산권 유효한 권리로 표시한 경우 최다 2023-12-31
이다금 newsmedical@daum.net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특허청(청장 이인실)이 건강식품 분야 전반에 대한 지식재산권 허위표시 집중단속(2023. 8. 11.~9. 20.)을 통해 503건을 적발했다.


이번 점검결과 22개 제품에서 503건의 지재권 허위표시를 적발했다.

(표)조사대상 유형과 판매 중인 제품 예시 

이번에 적발된 허위표시 유형을 살펴보면, ▲권리 소멸 이후에도 유효한 권리로 표시한 경우 430건 ▲특허번호 단순 오기재 32건 ▲등록 거절된 권리를 표시한 경우 19건 ▲출원 중인 특허권 등을 등록으로 표시한 경우 7건 ▲기타 15건(지재권 명칭 오류 등)으로 나타나, 판매자들이 소멸된 권리를 계속해서 표시하는 방법으로 지식재산권을 허위로 표시하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에 적발된 제품 종류는 ▲홍삼 제품 115건 ▲유산균 관련 제품 74건 ▲백수오 제품 57건 ▲레시틴 제품 53건 ▲베타글루칸 제품 46건 ▲기타(녹용, 즙 등) 158건으로 나타나, 다양한 종류의 건강식품에 지식재산권 허위표시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은 적발된 건에 대해 열린장터(오픈마켓) 사업자와 협력해 판매자에게 지재권 허위표시에 해당하는 제품을 고지하고 올바른 표시방법을 안내한 후, 수정·삭제 등의 시정조치를 완료했다.


특허청 정인식 산업재산보호협력국장은 “건강기능식품은 국민 안전과 관련된 품목으로, 소비자 보호를 위해 조사 대상을 건강기능식품에 한정하지 않고 건강식품 전반으로 넓혀 조사를 실시했다.”라며, “향후에도 국민 안전과 관련된 품목, 허위표시가 많이 발생하는 품목에 대한 점검을 강화하고, 지식재산권 허위표시 예방을 위한 교육 및 홍보활동을 확대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특허청은 올 한 해 소비자 피해방지를 위해 국민의 관심이 높은 학습용품, 건강식품 분야 등에 대해 약 4만 건의 게시물을 점검해 2,527건의 허위표시를 적발하고 시정조치했다.


건강기능식품은 국민 안전과 관련되어 있는 만큼, 이번 단속에서는 주요 열린장터[오픈마켓 :  11번가, 지(G)마켓,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옥션, 위메프, 인터파크, 쿠팡, 티몬, 에스에스지(SSG), 롯데온]에서 판매되는 건강기능식품뿐만 아니라, 건강보조식품과 일반식품으로 분류되는 기타 가공품까지 건강식품 분야 전반으로 조사대상을 확대했다. 

[메디컬월드뉴스]



관련기사
TAG

라이프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