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재관 newsmedical@daum.net
5월 5주차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는 전국, 수도권 및 비수도권 ‘낮음’으로 평가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지영미)에 따르면 신규 확진자, 위중증 환자, 사망자, 병상가동률 등 전반적인 지표가 개선되고 있지만 증감반복 추세와 위기단계 하향에 따른 추이 모니터링이 필요한 상황 등이 고려됐다.
(표)5월 5주차 종합평가 결과
◆병상가동률
전국 중환자 병상가동률, 준-중환자 병상가동률 및 의료역량 대비 60세 이상 발생비율은 전주 대비 감소했다.
◆위중증·사망자 현황
지난주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는 전주 대비 1.8% 감소하여 일평균 165명이고, 신규 사망자 수는 전주 대비 16.7% 감소(84명→70명)했고, 일평균은 10명이다.
5월 5주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146명(88.5%), 일평균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10명(100%)이었다.
5월 3주차 확진자를 2주간 모니터링한 결과, 중증화율 0.15%, 치명률은 0.05%이었다.
6월 3일 기준, 전체 인구 10만 명당 코로나19 누적 사망률은 67.4명(치명률 0.11%)이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사망률과 치명률이 높았다.
80세 이상의 누적 사망률이 984.9명(치명률 1.88%)으로 가장 높고, 70대는 212.9명(치명률 0.44%), 60대는 55.3명(치명률 0.11%)이었다.
(표)주간 코로나19 위험평가 지표별 추이(※ 잠정통계로 향후 변동 가능)
◆확진자 및 발생추이
5월 5주(5.28.~6.3.) 주간 신규 확진자는 11만 9,582명으로 전주 대비 2.6% 감소했다.
주간 일평균 확진자수는 1만 7,083명이고, 감염재생산지수는 0.95이며 전주 대비 소폭 감소했다.
30~59세를 제외한 대부분의 연령대에서 전주 대비 일평균 발생률이 감소했다.
발생률은 10-19세(44.3명), 30-39세(40.7명), 20-29세(38.1명) 순으로, 청소년 및 젊은 연령층에서 높았다.
(표)성별·연령별 발생 현황(명, %)
전주 대비 60세 이상 확진자 규모 및 발생 비중 모두 감소했다.
[메디컬월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