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어린나이 항암치료 치아 건강 악영향…항암 전후 정기적인 치과 검진 필수 서울성모병원 김윤지‧정낙균 교수팀 2023-02-21
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소아암 환아는 치아 발육 이상이 발생하고, 어린 나이에 항암치료를 시작할수록 이상 범위가 더 광범위하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서울성모병원 치과교정과 김윤지(교신저자)‧ 소아청소년과 정낙균(공동저자) 교수팀은 가톨릭중앙의료원 산하 익명화된 의료 빅데이터 자료(CMC data warehouse)를 이용해 2009년부터 2019년까지 이 병원 소아청소년과에 내원해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10세 이하의 환자 중, 조혈모세포이식 후 치과 파노라마 엑스레이 사진을 촬영한 153명을 선별, 연구했다. 


나이에 따라 4그룹(2.5세 이하, 2.6~5.0세, 5.1~7.5세, 7.5~10세)으로 나누고, 각 그룹에 따른 치아 결손, 왜소치, 치근 형성 이상을 조사했다. 

[그림]연구 결과 치아의 발육이 일어나는 어린 나이에 항암치료를 받은 환자일수록 치아발육 이상이 더 광범위하게 발생하였고, 항암 치료가 늦을수록 치아 발육 부전, 왜소치, 치근 형성 이상이 적었다.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환아의 치아 엑스레이 검사 사진. X표는 치아 형성 부전으로 영구치 결손, 화살표는 왜소치, 치아 뿌리 부분의 꺽쇠(^)는 치근 형성 이상을 표시하였다. 


이번 연구 결과 치아의 발육이 일어나는 어린 나이에 항암치료를 받은 환자일수록 치아발육 이상이 더 광범위하게 발생했고, 항암 치료가 늦을수록 치아 발육 부전, 왜소치, 치근 형성 이상이 적었다. 


즉 치아가 만들어지는 연령에 항암치료 치료를 받은 환자는 치아 발육 이상이 발생한다는 것을 입증한 것이다. 


김윤지 교수는 “서울성모병원은 조혈모세포 이식 증례수가 국제적으로 많기 때문에, 항암 치료를 받은 치과 환자의 진료 경험이 풍부해, 이런 환자분들중에서 특이한 점을 발견하여 시작한 연구이다. 치아가 불편하지 않아야 음식을 잘 먹을 수 있고 영양소를 고르게 섭취할 수 있기 때문에 성장해야 하는 소아암 환자의 치아 건강은 중요하며, 항암 치료 후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항암 치료 전후 정기적인 치과 검진이 필수이다”고 강조했다. 

정낙균(사진 오른쪽) 교수는 “서울성모병원은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들의 이식전 처치 시 치과 진료를 의뢰해왔고, 치과 협진이 매우 원활하다. 장기간의 축적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치아 발육 이상의 상관관계를 입증한 연구로 향후 어린 나이에 조혈모세포이식을 하는 경우 이식치료 전후로 치아발달에 영향을 최소화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제시한 것이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PLOS ONE’ 2022년 12월호에 게재됐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TAG

라이프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