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재관 newsmedical@daum.net
질병관리청이 Disease X(신종 감염병) 대비 보다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대응 체계 구축을 위한 선제적 제도 정비 및 중장기 전략을 마련한다.
주요 전략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신종 감염병 조기 인지 및 유입 지연…분석‧감시 및 검역 강화
▲정보 분석
해외 유입 신종감염병 대비, 해외 감염병 정보 신속 확인‧분석한다.
해외 감염병 유입 조기 인지 및 대응을 위해 WHO EIOS[Epidemic Intelligence from Open Sources : 미디어 내 질병 관련 뉴스를 발췌하여 수집·공유되는 웹 기반 감염병 사건기반 감시(Event-Based Surveillance) 시스템] 등을 활용한 감염병 사건기반 감시 강화 및 신속한 정보(대국민, 의료진)를 제공한다.
▲감시
신종감염병 국내 발생 조기 인지를 위한 신종감염병‧병원체 감시를 강화한다.
△하수기반 감시 전국 확대=신‧변종 감염병에 대한 선제적 발생 인지 및 대응을 위한 하수(下水) 역학을 전국으로 확대(10개 시도 → 전국)한다.
△호흡기바이러스 감시체계=팬데믹 가능성이 높은 호흡기질환(인플루엔자 등) 유행 조기인지를 위해 병원체 감시 참여기관 확대[150개(‘22년) → 170개(’23년)] 등 국내 감시를 강화한다.
▲검역
해외감염병 발생 증가에 대비 상시 검역 인프라를 확충한다.
△인프라 확충=항만 국제선 재개 등으로 해외 감염병 발생 증가에 대비한 검역정보사전입력시스템(Q-CODE) 및 검역 인프라를 확대한다.
△국민 참여 강화=신종‧대규모 해외감염병 대비 해외감염병신고센터 확대 설치[국가별 감염병 정보 제공 및 감염병 의심환자 무인신고(키오스크) 접수, Q-CODE 교육 등을 수행하는 해외감염병신고센터 2개소 운영 중이며, 2023년도 2개소 추가 예정] 및 대국민 소통 강화로 국민 참여기반 능동형 검역 환경을 조성한다.
◆Disease X 대비 신속한 대응…진단-역학 역량 강화
▲진단
다음 팬데믹 대비 새로운 병원체의 진단 검사 역량을 조기에 확보한다.
△진단검사 역량 확대=위기 시 신속하게 상용화하여 국민들이 검사 가능하도록 진단검사기관 및 시약 생산체계 선제적으로 확보한다.
진단검사의 정확성‧신뢰성 강화를 위해 검사 과정 전반에 대해 평가‧관리할 수 있는 진단검사기관 인증제 도입을 추진한다.
평상시에는 새로운 검사기술 습득, 위기 시에는 인증기관 중심 신속한 검사법을 보급하는 형태로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새로운 진단제품의 현장 사용 가능성을 신속히 평가할 수 있는 전문 평가단(민‧관 합동) 구성 및 비상생산체계(위기 시, 질병청 자체 개발 검사법 등에 대해 신속히 대량 생산·공급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한다.
△기술력 강화=신종 감염병의 원인병원체 조기 파악을 위한 진단‧분석 기술 개발‧확보한다.
이를 위해 병원체 유전자 통합적 DB 근거 마련 및 개발(2023년)을 추진한다.
또 ❶차세대염기서열분석법(NGS) 활용 증상기반 다중검사 분석법 개발‧보급, ❷병원체 기반 판(PAN) PCR 분석법 순차 구축 등을 통해 차세대 진단검사법 개발 등을 추진한다.
▲역학
초기 신속대응을 위한 역학조사 체계 구축 및 인프라를 강화한다.
△역학정보 분석=대규모 팬데믹에 대비한 역학정보 분석 및 현장 대응 역량 고도화로 대비‧대응 태세를 강화한다.
역학조사지원시스템(EISS) 고도화로 다양한 동선정보 적시 파악 및 대규모 접촉자 체계적 추적‧관리한다.
고성능컴퓨터를 활용해 발생규모, 전파력 등 유행상황 예측하고 병상, 장비, 시설 등 필수 의료자원 소요도 추계한다.
△인력 양성=현장대응팀, 방역관‧역학조사관‧지자체 감염병 담당자 등 대상별 교육 과정을 세분화하여 전문성(신속한 조사‧분석을 위해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감시분석 및 자원 관리 역량 교육 강화) 및 현장 활용성을 강화한다.
◆신종‧대규모 감염병 발생 대비 대응 체계 정비 및 접종 역량 강화
▲의료대응
권역‧지역 감염에 대한 1차적 치료‧관리 체계의 핵심 역할을 담당할 권역 감염병전문병원(5개소)의 조기 착공을 추진한다.
중앙(중앙-권역), 권역 내(권역-국가지정입원치료병상) 협의체(신종감염병 상시 대응체계 및 권역 전문병원 조기 구축 등 협력 방안 논의) 운영, 진료체계 구축 표준매뉴얼 및 전담 간호인력에 대한 전문교육 준비를 추진한다.
▲중앙-지역협력체계
권역별 질병대응센터의 지역 공중보건 거점 기능 역할 강화로 감염병 신속 대응 기반 확립을 위한 협업 체계를 구축한다.
지역 특성을 고려한 센터별 질병대응 전략 및 특화사업 발굴을 추진하고 지역 거버넌스 체계를 강화[(기존) 광역시도와 정례회의 → (대상확대) 감염병관리지원단, 보환연, 지역단체]한다.
▲예방접종
국산 백신 개발 기술 역량 확보와 더불어, 신종‧대규모 감염병 유행 대비를 위해 △접종 프로토콜 마련, △대규모 접종 가능하도록 조직 확대 개편 및 인프라를 정비한다.
◆Disease X 대응, Big data 활용을 위한 정보시스템 구축 등 제도 정비
▲방역시스템 개편‧체계 정비
분절된 감염병 대응 全 과정(검역, 신고/보고, 병원체 검사, 역학조사 등)의 시스템 통합‧연계, 수집항목의 표준화·모듈화를 추진한다.
▲빅데이터 구축‧개방
데이터 활용도 제고를 통한 연구‧분석 활성화 및 대국민 정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코로나19 빅데이터 구축 및 개방한다.
▲법률 정비
코로나19 대응 과정의 평가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감염병 발생 대비‧대응을 위한 ‘감염병예방법’전면 개정을 추진한다.
[메디컬월드뉴스]